earticle

논문검색

연재학파(淵齋學派)의 형성과 전개 - 『계산연원록(溪山淵源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Yeonjae school(淵齋學派) - Focus on Gyesanyeonwonrok (溪山淵源錄) -

박학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mid-19th century, the school divisions in Kiho Dao Learning lineage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to various groups of literary groups, such as Hwaseo School (華西學派), Nosa School (蘆沙學派), Ganjae School (艮齋學派), and Yeonjae School (淵齋學派). The literati belonging to these schools continued to defend and follow the Confucian tradition. In addition, they showed various aspects of countermeasures, such as movement of Wijeongcheoksa (衛正斥邪), the righteous army movement (義兵運動) and anti-Japanese activities (抗日活動), against Western trade pressur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n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school continued to be in school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he Yeonjae School studi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that produced numerous literary figures across the country, beyond the Chungcheong area, based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ong Byeong-Seon (宋秉璿, 1836~1905) and Song Byeong-Soon (宋秉珣, 1839~1912). However,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the early disciples of the Kanjae school. Accordingly, it revealed certain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entire literary circle of the Yeonjae School, which was active until the late 20th century. In this paper,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 examined the academic completion, academic relationship, and systematic teaching activities of Song Byeong-Seon brothers' a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Yeonjae School,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I summarized and analyzed the area and age distribution of 1,100 early disciples discharged through the Song Byeong-Seon brothers' education, and 2,557 next disciples who were discharged through the education of early discipl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further revitalize the study of the faculties. Of course,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is the Gyesanyeonwonrok (溪山淵源錄) published by the literary man of the Yeonjae school. I hope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of the study of the Yeonjae school in earnest, and I hope that the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Korea will be activated.

한국어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구체화한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는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화서학파(華西學派), 노사학파(蘆沙學派), 간재학파(艮齋學派), 연재학파(淵齋學派) 등의 문인 집단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들 학파의 문인들은 유교 문화의 수호와 계승을 지속하는 한편, 서구와 일제의 침탈에 맞서 위정척사와 의병활동, 항일운동 등의 대응 양상을 보이며 20세기 중후반까지 학파적 면모를 지속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연재학파는 송병선(宋秉璿, 1836~1905)과 송병순(宋秉珣, 1839~1912) 형제의 강학 활동을 바탕으로 강학지인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수많은 문인을 배출한 근현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문인집단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송병선 형제의 문하에 배출된 직전 제자에만 초점을 맞추어졌고, 이에 따라 20세기 후반까지 활동한 연재학파 문인들의 전모를 확인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연재학파 형성의 배경이 되는 송병선 형제의 학문 수수 및 교유 관계, 그리고 체계적인 강학 활동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송병선 형제 문하에서 배출된 1,100명의 직전 제자뿐만 아니라 이 문인들의 문하에서 배출된 2,458명의 재전 및 99명의 삼전 제자들의 지역별 연령별 분포를 정리 분석하여 20세기를 관통하며 활발한 학문 활동을 전개한 연재학파의 전체 규모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향후 연재학파에 대한 보다 진전된 연구가 후속되길 기대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연재학파(淵齋學派)의 형성 배경
1) 가학을 통한 기호 학맥의 계승과 선배 학자와의 교유
2) 학문적 교유의 확대와 유력(遊歷)
3) 체계적인 강학 활동의 전개
3. 연재학파의 형성과 학맥 계승
1) 직전 제자군의 형성과 활동
2) 재전 제자군의 형성과 학맥 계승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학래 Park, Hak-Rae. 군산대학교 역사철학부 철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