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해방 이후 개신교 학교와 사회적 영향력 : 대전 대성학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Protestant Schools and Social Influence after Liberation : Focused on Daesung School in Daejeon

윤은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social influence of Protestant schools after liberation. Since the arrival of Protestantism in Korea in 1884, Protestant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out Korea, and this trend continued even after liberation. So while research on Protestant schools is under way, little has been done on the historical studies of Protestant schools after liberation. More Protestant schools were established after liberation than before liberation to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is respect, historical research on Protestant schools after liberation is needed. This study studies Daesung School among Protestant schools after liberation. The Daesung School began with post-war education devastated, but the enthusiasm for learning was on the rise. And as it developed into six schools, it shared the education of the community and contributed to the education. Especially,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faith was put on a positive image for the community at that time, and became an element of school development.

한국어

본 연구는 해방 이후의 개신교 학교의 발전과 사회적 영향력을 대성학원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1884년 개신교의 한국 도래 이후 개신교 학교는한국 전역에 세워졌고, 해방 이후에도 이러한 흐름은 지속되었다. 그리하여 개신교 학교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만, 해방 이후의 개신교 학교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해방 이전보다 해방 이후에더 많은 개신교 학교들이 설립되어 대한민국의 교육에 일조하였다. 이점에서 해방 이후의 개신교 학교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해방 이후의 개신교 학교 중 대성학원을 연구한다. 대성학원은 전후 교육은 황폐화되었지만, 학구열은 높아가던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6개의 학교로 발전하면서 지역사회의 교육을 분담하며 교육에일조하였다. 특별히 신앙을 통한 인성교육은 당시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이미지로 비치었고, 학교 발전의 한 요소가 되었다.

목차

논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II. 대성학원의 설립 배경: 6·25전쟁과 교육 수요의 증가
III. 대성학원의 발전과 지역사회의 교육 분담
IV. 개신교 신앙을 통한 인성교육
V. 나가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은석 Enseok Yun.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공동연구원, 계명대학교의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