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몰트만(J. Moltmann)의 부활 이해 : 통전적 성격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Jürgen Moltmann’s Understanding of the Resurrection : Focused on Its Holistic Character

신옥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Moltmann’s holistic understanding on resurrection based on his major works. It also aim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his theology by examining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Korean Church. Resurrection as the core and basis of the Christian faith is the crux of Moltmann’s theology. According to him,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s a historical event while being at the same time an event of faith interpreted in existential experience. Moreover, it is the event of revelation of the triune God in the form of promise as well as being an eschatological event of salvation. Resurrection as the eschatological anticipation of the new creation is fundamental to Moltmann’s understanding of resurrection. The holistic nature of resurrection as viewed from the horizon of the kingdom of God is foremost and prominent. Resurrection is holistic in nature-that is, it involves the entire whole of a person-while also demonstrating personal, political, and cosmic dimensions. Moltmann’s emphasis on the holistic nature of resurrection is essential in the ministry fields of Korean Church. It provides the believer with hope for life after death, while also affirming the earthly life and honoring the value of physical and material life. Furthermore, Moltmann’s understanding of resurrection provides not only individual but public nature. Christ’s resurrection implies resisting sin, injustice, suffering, and the power of death and as well as practicing discipleship in order to resist. Because resurrection is understood as both historical and cosmic event, Moltmann’s understanding invites and asks us to fulfill our ecological responsibilities and tasks. The eschatology of hop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resurrection provides dynamic power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real world and compels us to live with a du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history and the world. In this way, faith in the resurrection becomes the source and engine for every Christian practice. Because it provides orientation for biblical as well as evangelical and well-balanced life and faith, Moltmann’s understanding of the resurrection can provide valuable resources for reflection and reformation in today’s Korean Church that tends to show unhealthy symptoms from having a distorted or biased understanding of salv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몰트만의 주요 저서들을 중심으로 그의 부활에 대한 통전적 이해의 구조와 성격을 분석한다. 또한 한국교회에서의 실천적 적용을 고찰 함으로써 그 신학적 의의를 평가하고자 한다.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요 토 대로서의 부활 신앙은 몰트만의 신학을 구성하는 결정적 요소이다. 그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역사적 사건이면서 동시에 실존적 체험 속 에서 해석된 신앙의 사건이다. 또한 약속의 형식을 지닌 삼위일체 하나님 의 계시 사건일 뿐 아니라 종말론적 구원의 사건이다. 특히 종말론적 새 창 조의 선취로서의 부활은 몰트만의 부활 이해의 초석이다. 무엇보다도 몰트만에게서는 하나님 나라의 지평에서 바라본 부활의 통전적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부활은 전인적 성격을 지니며 동시에 개인적이고 정치적이며 우주적인 차원을 갖는다. 몰트만의 부활의 전인적 차원에 대한 강조는 한국교회의 목회 현장에서 필수적이다. 신자로 하여금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한 기대와 함께 현세적 삶을 긍정하고 신체적이고 물 질적인 삶의 가치를 존중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몰트만 의 부활 이해는 단지 개인적인 차원만이 아닌 공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리 스도의 부활은 종말론적 승리에 근거한 죄와 불의와 고난과 죽음의 세력에 대한 항거와 이를 위한 제자도의 실천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부활은 역사 적 사건만이 아니라 우주적 사건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몰트만의 부활 이해는 우리에게 생태학적 책임과 과제를 요청한다. 몰트만의 부활 이해에 근거한 희망의 종말론은 현실세계의 사람들에 게 역동적인 힘을 제공하며 역사와 세계에 대한 강한 책임의식 속에서 살 아가게 한다. 따라서 부활신앙은 기독교적 실천의 동력이 된다. 이런 몰트 만의 부활 이해는 오늘날 왜곡되거나 편향된 구원관으로 인해 건강하지 못 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한국교회를 위한 성찰과 개혁의 소중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성서적이고 복음적이며 균형 잡힌 삶과 신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목차

논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II. 몰트만의 부활 이해의 배경
III. 몰트만의 부활 이해의 구조와 성격
IV. 몰트만의 부활 이해의 실천적 적용
V. 나가는 글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옥수 Ok Su Shin.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