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Estimation of Crime Vulnerable Group’s Influence on Crime Type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원문정보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범죄취약계층과 범죄발생 유형의 영향관계 평가

Hoo Oh, Jeong Hun Won, Ki Yong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dentified crime vulnerable groups by crime type through perform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view of prior studies, seven crime vulnerable groups (independent variable) were classified such as the elderly, children and youth, foreigners, femal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one-person households and multicultural families. Crime types (dependent variable) include heinous crime, theft crime, violent crime, intelligent crime, crime against the customs, other criminal crimes, and special crimes.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crime vulnerable groups differed by crime types. Second, the elderly and children/youth showed a negative coefficient in all crime types. Third, foreigner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special crimes, while female was vulnerable to theft and violent crime. Multicultural families were vulnerable to heinous crime, while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were related to violent crime, intelligent crime, crime against the customs and other criminal cr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liminating unnecessary fear of crime and developing customized measures based on the vulnerable characteristics of each crime typ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취약성 저감 측면에서 범죄취약계층과 범죄유형별 범죄발생건수에 대한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여 범죄취약계층별 범죄유형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는 선행연구 고찰 을 통해 7개의 취약계층(고령자, 아동·청소년, 외국인, 여성, 1인 가구, 다문화 가구, 기초생활수급자) 으로 선정하였으며, 범죄유형별 취약계층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각 유형별 발생건수를 종속변 수로 선정하였다. 범죄 유형은 활용된 데이터 유형을 반영해 강력범, 절도범, 폭력범, 지능범, 풍속범, 기타 형법범, 특별법범으로 구분하였다. 범죄취약계층 중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 취약계층을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유형별로 취약계층에 따른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모든 범죄에서 고령자와 아동·청소년은 음의 영향관계를 갖는다. 셋째, 특별법범에서는 외국인이, 절도범과 폭력범에서는 여성이, 강력범에서는 다문화가구가, 폭력범과 지능범&풍속범, 그리고 기타 형법범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가 양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필요한 범죄두려움 을 없애고, 범죄유형별 취약특성에 따른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1. 범죄 취약성 이론
2. 범죄취약계층 고찰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Ⅲ. 분석 틀
1. 변수선정
2. 자료수집
3. 분석방법
Ⅳ. 분석 및 고찰
1. 범죄발생 및 범죄취약계층 특성분석
2. 범죄유형과 취약계층별 영향관계 분석
Ⅴ. 고찰 및 결론
1. 연구결과
2. 시사점 및 한계점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Hoo Oh Department of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Jeong Hun Won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Ki Yong Park Department of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