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蒼巖 李三晩의 學書 연마와 書藝論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Changam, Lee Samman’s a course of learning calligraphy and calligraphy theory

창암 이삼만의 학서 연마와 서예론 고찰

김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angam, Lee Samman(1770~1845), who created his own handwriiting to be referred to as the three great wri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valued 'beobgo'. Based on the calligraphy of the Han-Wi era, Lee Kwangsa who completed DonggugJinche was regarded as the teacher of the heart. In his later years, he wrote 『ChangamSeogyeol』 to teach how to use the right brush, revealing the basic principles of universal calligraphy and his own calligraphy. The typeface of Changam is completed by choseo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aeseo geungol. For this, I valued Han-Wi's haeseo training, OnhuGanwon Han-Wi geungol shows a state without natural law. This shows that nature is the core and ultimate goal of Changam calligraphy theory. This is a return to the state of 'No law' at the height of the law, where eum-yang is created and bizarreness occurs when form, power and energy are promoted. On the other hand, he emphasized that jangbeob and pochi form IlunMujeog DeugpilCheonyeon when expressing naturalness as it is, without being bound by the old law. His typeface constantly tried to combine the beauty of Joseon's own calligraphy while sublimating nature into art. Thus, he acquired IlunMujeog, a body rich in geungol and full of vitality and dynamism. And DeugpilCheonyeon achieved aesthetics with the highest level of excellence, embodied as the original 'Haengunyusu Typeface', and further developed handwriiting and Calligraphy spirit of DonggugJinche in Honam province.

한국어

조선 후기 3대 명필로 지칭될 만큼 독자적 서풍을 창안한 蒼巖 李三晩(1770~1845)은 ‘法古’를 중시하였는데, 漢魏代 서예를 근본으로 하고, 東國眞體를 완성한 圓嶠 李匡師를 마음의 스승으로 삼아 수련하였다. 만년에는 올바른 필법 전수를 위해 『蒼巖書訣』을 저술하여 보편적 서예의 기본원리와 자신의 서예관을 피력하였다. 蒼巖이 지향하는 서체는 楷書 筋骨의 확립을 통한 草書로 완결된다. 이를 위해 漢魏의 서체를 典範으로 제안하였는데, 穩厚簡遠한 漢 魏筋骨은 無爲自然的 無法의 경지를 보여준다. 이로 보아 蒼巖 서예론의 핵심이자 궁극적 지향점은 ‘自然’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법의 극치에 이르러 다시 無法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여기에서 陰陽이 생성되고 形·勢·氣가 부드러움을 도 모하면 奇怪함이 생겨난다고 보았던 것이다. 한편, 古法에 얽매이지 않고 愚拙한 自然天成을 발현하면 장법과 포치가 逸韻無跡한 得筆天然을 이룬다고 강조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그의 서체가 자연을 예술로 승화하면서, 조선 고유 의 서예미를 끊임없이 접목·시도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하여 근골이 풍부하고 생명력과 역동감이 넘치는 형세 를 이룬 逸韻無跡을 體化하였고, 得筆天然한 極工의 심미경지를 이루어 독창적인 '行雲流水體'로 구현하였고 마침내 호남지방에 東國眞體의 서풍과 서예정신을 더욱 창달시켰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蒼巖李三晩의 생애와 學書과정
Ⅲ. 蒼巖李三晩의 書藝論분석
1. 穩厚簡遠한 漢魏筋骨추구
2. 逸韻無跡의 得筆天然지향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도영 Kim Doyoung. 학술이사,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문화재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