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압록강에 등장한 동양 최대의 발전소, 수풍댐과 동아시아 기술체계의 형성

원문정보

Sup’ung Dam and the Shaping of the Northeast Asian Techno-political Regime

오선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938, Sup’ung Dam, the largest scale dam in Asia and 2nd in the world, was constructed at the Yalu River, the border between colonial Korea and Manchukuo. Sup’ung hydropower plant linked the north industrial area of colonial Korea with newly developed cities in Manchuria through high-voltage transmission lines. Consequently, Korean and Manchuria had more stable electric power systems as compared to the Japanese system, which was still based upon small- and middle-scale power plants. This paper explores how this innovation of electric power system was made possible in the colonial periphery of the Japanese empire. Originally, the innovation began in colonial Korea when large-scale power plants were advanced as product of negotiation between Nitchitu and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early 1930s. Since the Nippon Chisso Hiryō(Nitchitu) had failed to acquire sufficient electricity in Japan, it tried to secure new power resources in Korea;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uffering from the resistance of existing power suppliers and the lack of enough money for stabilizing the public power system, chose Nitchitu as an ideal partner. The cooperation between two made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plants, which would provide the foundation not only for expanding Nitchitu business, but also for the stable grid system in the colony. Sup’ung dam was the third plant constructed by their partnership, and the first plant, built by cooperation between colonial Korea and Manchukuo. A Newly “independent” country, Manchukuo, established in 1932 by Japanese Kwantung army, launched a strong government-led industrialization program. Kwantung army and young Japanese reformist bureaucrats planed big industrial cities and heavy chemical industrial complexes that required abundant power resources. Finding an ideal model of electric power system from colonial Korea, not Japan, they suggested the plan for construction of large-scale plants to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oon, this international project for constructing large scale plants at Yalu River was materialized. Nitchitu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the two colonial governments’ uneasy partnership as well as providing technology and experience of construction. When their interests were conflicted, Nitchitu built bridges by suggesting practical and flexible solutions. One of the problems was that two countries used different power frequencies. In a way that tooled up generators of each country’s exclusive use, instead of unifying two systems, they could avoid social controversy as well as saving money and time. In the end, the two countries shared Sup’ung plant while at the same time preserving different electric power systems. In Colonial Korea, Sup’ung plant was connected a multiplicity of factories and houses via existing power suppliers’ distribution. In Manchukuo, it, as the result of development led by strong nation, provided power for planed industrial cities, and become a part of fanatical nationalistic system.

한국어

1938년 동아시아 최대 규모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수풍댐이 식민지 조선과 만주 국의 사이를 가르는 국경하천 압록강에 건설됐다. 수풍댐에서 생산된 대량의 전기는 고 압 송전망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각지는 물론 만주국의 주요 산업도시에도 송전되어 산 업화를 진작하는 기반이 되었다. 이렇듯 제국의 변방에서 일어난 기술혁신을 통해 식민 지 조선과 만주국은 오히려 제국의 중심지 일본보다도 풍족하고 안정된 전력공급체계를 구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풍댐의 등장과 고압 송전망 체계 구축 과정에서 주목해야할 것은 수풍댐의 규모가 제국의 중심지, 일본에서는 시도조차 된 바 없는 수준이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당시 식민지 조선과 만주국의 전력산업 규모에 비해 과도하게 컸다는 것이다. 남아도 저장할 수 없는 전기 산업의 특성상 산업 규모를 뛰어넘는 발전소 건설은 시도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더욱이 만주국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던 기존 화력발전 중심의 전력체계를 수력발전 중심으로 전환하고자 시도했다. 이러한 식민지 조선과 만 주국 사이의 협력 사업에서 전력다소비 업체이자 발전소 건설의 실질적 주체로서 일본 질소는 식민지 조선과 만주국 사이를 오가며 양 측의 이해관계를 조절하고 매개하는 역 할을 했다. 일본질소가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었던 데에는, 일본질소가 그간 대규모 발 전소 건설을 해온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양 측 모두에게 깊은 신뢰를 받고 있었다는 점 외에도 일본질소가 비료사업체를 가진 사기업이라는 점이 중요했다. 일본질소는 양국 의 이해가 충돌할 때마다 실용적인 해답을 제시했고, 대규모로 생산된 전기를 소비할 생 산업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프로젝트를 실질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국의 중심지가 아닌 식민지 변방에서 거대한 기술혁신이 일어날 수 있었으며, 결국 통제권을 가진 식민지 통치기구와 이권을 보장받은 기업 사이에 강력 한 협력을 통해 개발이 이뤄지는 식민지 조선의 독특한 전원개발방식이 동아시아의 기 술개발체제로 확대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만주국의 산업개발 5개년 계획과 수력발전소 건설 계획
Ⅲ. 식민지 조선에서 발견한 새로운 전력체계 구축의 모범
Ⅳ. 수풍댐의 등장과 동아시아 기술 체계의 형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오선실 Oh Sunsil.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