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淸末 民初 北京官話 교재에 나타난 웨이드식 표기의 특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Wade romanization in textbook of Peking Dialect in Late Qing Dynasty

청말 민초 북경관화 교재에 나타난 웨이드식 표기의 특징 연구

구현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ade romanization is the most commonly written alphabet system prior to the creation of the Hanyu pingyin, established by Thomas Wade in 1867 with the compilation of 『語言自邇集』. Thomas Wade's 『語言自邇集』 is a book that describes Peking Dialect which is most popular and influential dialect at that time, Wade romaniza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honetic expression in Chinese textbooks of Late Qing Dynasty. In Late Qing dynasty, there are several romanization system made by Frederic Baller, Samuel Wells Williams, Calvin Wilson Mateer etc. There was no ŋ in Baller's notation, and there was no ʨ, ʨ, ɕ in Williams' system. Furtherm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otation of ɿ, ʅ, a, ia, u, ɤ, ɤ, i, ye, ən, and əŋ. Next, we adopted wade-style notation to look at the features of how the writing in the textbook documenting Peking sound has changed. First, the initial ŋ was seen only in Wade's works and then disappeared in the rest. However, the final of 蟹 攝 開口 二等 iai, the final of 宕江攝 io and yo the appearance was irregular,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initial did not match each textbook. Appearances such as lyn, lyan, nun, pou, were shown regardless of the timing of publi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ŋ, iai, io, yo, lyn, lyan, nun, pou were still in use in Beijing's official culture until the early 1900s. Wade system is a representative product of the period currents, which wan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late Qing dynasty, and to give Chinese characters a means of phoneticization, and well reflects the phonetic system of Peking culture at that time.

한국어

웨이드식 표음 체계는 한어 병음의 창제 이전 가장 일반적으로 쓰인 알파벳 표음체계 로, 1867년 토마스 웨이드(Thomas Wade)가 『語言自邇集』의 편찬과 더불어 확립하였다. 토마스 웨이드의 『語言自邇集』은 당시 중국에서 가장 유행하고 영향력 있는 관화인 북 경관화를 기록한 저서로, 이 저서에 쓰인 웨이드식 표기법은 후대 중국어 교재 안의 발음 표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웨이드식 표기법은 표의 문자인 한자에 알파벳으로 표음 체계 를 부여하려한 청말 민초의 시대적 조류 안에서 탄생된 산물이며, 당시 Baller, Williams, Mateer등에 의해 다양한 표기법이 존재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Wade의 표기법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이들 표기법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Baller의 표기법에는 ŋ성모가 존재하지 않으며, Williams의 표기법에는 ʨ, ʨ‘, ɕ가 존재하지 않았다. 운모에서는 ɿ, ʅ, a, ia, ua, ɤ, ie, ye, ən, əŋ의 표기에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웨이드식 표기법을 채택하여 북경관화를 기록한 교재 안의 표기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 특징을 살펴보 았다. 먼저 ŋ성모는 웨이드의 저작 안에서만 보이고 나머지 저작 안에서는 소실되었다. 그러나 蟹攝 開口 二等의 iai운모, 宕江攝의 io, yo운모는 편찬의 전후 시기와 관계없이 출현 양상이 불규칙적이었으며, 성모와의 결합관계도 각 교재가 일치하지 않았다. lyn, lyan, nun, pou와 같이 출현 양상이 출판 시기와 무관하게 나타났다. 이로보아 ŋ성모, iai 와 io운모, yo, lyn, lyan, nun, pou등은 1900년대 초반까지도 북경관화에서 소실되지 않고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북경관화 교재의 편찬과 다양한 표기법
Ⅲ. 웨이드식 표기를 쓴 북경관화 교재 안의 표기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구현아 Khoo Hyunah. 용인대학교 교양교육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