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layed positive diplomatic activities to enlarge its ruling power on the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people and for the Korean independence since its beginning stage. Also it established a military school and made efforts for the integr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Manchuria and the Maritime Province areas. Accordingly, several regulations were set up for the basic military activities such as temporary military system and the temporary military division system. On the other hand in Manchuria, the existing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were rearranged and set up into the systematic and unified armed organizations. On the case of The Seorogunjungseo, for the first time it agreed on the governmental line through sending correspondents, but gradually it gave everything it had to the armed-struggle when the Temporary Government inclined to the diplomatic matters. The Bukrogunjungseo(Deahangunjungseo) established in the North-gando, from the beginning started from the Jookwangdan (중광단) organized mainly by Daejonggyo(대종교) believers. The Deahangunjungseo and The Seorogunjungseo concluded a mutual military agreement and cooperated in the training of military cadets, purchasing of weapons, etc. On the case of The Chameuibu, it first was organized as a direct control unit, but it did not get actual support such as finance, troops, arms by The Temporary Government. Since The Government was in slump in mid-1920s, Th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transformed into The 3-Department system of Manchuria which took its own military government line.
한국어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설립 초기부터 국내외 한인 동포들에 대한 통치력 의 확대와 한국 독립에 대한 적극적인 외교활동을 벌였다. 또한 무관학 교를 설립하고 독립전쟁을 준비하면서 만주 및 연해주지방의 독립운동 단체들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1920년 육군임시군제, 육군임시군구제 등 군사 활동의 기초가 되는 제반 규정을 정비하였다. 한편 만주지역에서는 기존의 독립운동 단체들을 정비하고 조직적이고 통합적인 무장단체를 결성하였다. 서로군정서의 경우, 처음 임시정부와 협조하여 특파원을 파견하는 등 임시정부 노선에 찬동하였으나 점차 상 해 임시정부가 외교론에 기울자 관계를 끊고 무장투쟁에 전력하였다. 북 간도에 설립되었던 대한군정서(북로군정서)는 처음부터 대종교인들이 주 축이 되어 조직한 중광단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대한군정서와 서로군정서 는 상호 군사협정을 맺고 사관생 훈련, 무기 구입 등 상호 협조하였다. 참의부의 경우, 처음 임시정부의 직할부대로 조직되었으나 임시정부로 부터 금전, 병력, 무기 등 실질적인 지원을 받지는 못했다. 1920년대 중 반 이후 임시정부가 침체되자 각 부는 독자적인 군정부(軍政府) 체제인 만주의 삼부(三府) 체제로 전환되었다.
목차
1. 머리말
2. 임시정부의 군사정책
3. 만주지역 군정부와의 관계
1) 서로군정서
2) 대한(북로)군정서
4. 임시정부 육군주만참의부
1) 참의부 성립 경위
2) 임시정부와의 관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