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Based on Bloom's New Educational Objectives Taxonomy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achievement criteria sta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by Bloom's New Educational Objectives Taxonomy,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 total of 83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curriculum were extracted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consultation with three experts.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were focused on specific sub-domains in th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Second, the two sectors of family life and the world of technology also tended to be focused on specific subfields. At the level of knowledge, factual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both fields. At the level of cognitive processes, applied was the highest in family life and Understand was the highest in the world of technology. Third, there was a relatively small proportion of achievement criteria for metacognitive knowledge at the knowledge level and evaluating at the cognitive process level. The field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evaluation needs to be emphasized more because of the nature of practical education that emphasize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It is suggested that related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more detailed target areas in the future, and that follow-up studies on achievement standards, instructional goals, curriculum content, and evaluation will be conduct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초등 실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 류학표에 의해 분류하고,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 실 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총 83개를 추출하여 3인의 전문가의 협의를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후, 신뢰도 검증을 위해 2인의 전문가의 분류 결과와 일치도를 검증하였다. 성취기준을 분류한 후 일치도를 산출하여, 재논의하였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의 2차원적 분류표를 활용한 분 류결과는 빈도, 비율, 순위, 평균, 분산,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에 진술 된 총 83개의 성취기준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특정 하위 영역에 편중되어 있었고, 지식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2차원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총 24개의 분류 영 역 중 7개의 영역에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가정 생활과 기술의 세계의 두 분야 역시 특정 하위 영역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식 차원에서는 두 분야 모두 사실적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가정생활은 적용하다, 기술의 세계는 이해하다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지식차원에서는 메타인지 지식,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평가하다의 성취기준 진술 비 율이 비교적 적었다.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중요시하는 실과 교육의 특성 상 메타인 지 지식 및 평가하다의 영역이 더욱 강조 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더 세분화 된 목표 영역에 대하 여 관련 연구가 진행될 것과, 성취기준과 수업목표, 교과내용, 평가와의 연계 등에 대한 후속 연구 가 이루어 질 것을 제안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
2. 2015 개정 초등 실과 교육과정
Ⅲ. 연구 방법
1. 분석 절차
2. 분석 대상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초등 실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결과
2. 분야 별 분석 결과
Ⅴ. 논의, 결론 및 제언
1.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