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대학교 ‘초등무용교육’ 강의의 교육적 의미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Dance Class' Lecture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이강순, 김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lected the subject of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activating education college classes and diversifying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 Specifically, the practice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 lecture is present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s proposed by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education' lecture of education university. A case study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divided the course of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nto planning, preparation and practice and explored its features. As a result, the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lecture features four main categories. First, creation, second, monitoring, third, communication, fourth, journal. Finally, through the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ourse, which is one of the classes for physical education and advanced courses at the education college, the pre-service school teachers feel the importance of dance education, their ability to create, appreciate and communicate has changed and grown, and they have provided a platform for applying and implementing it at the elementary school sit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무용교육’ 강의의 실천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참여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수업 경험을 토 대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는 교육대학교 무용 관련 강의의 활성화와 프로그램의 다양화 측면에서 도 움을 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에게는 즐거운 무용 수업이, 학생들에게는 신나는 무용 수업이 될 것이 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했다. ‘초등무용교육’ 강의 사례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 방법으 로 수업 과정 분석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우선, 수업 과정 분석을 통해 ‘초등무용교육’ 의 강의 과정을 계획, 준 비, 실천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무용교육’ 강의에 참여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심 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무용교육’ 강의의 교육적 의미는 크게 네 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첫째, 무용 수 업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인식; 둘째, 무용 창작을 위한 소통 능력 신장; 셋째, 모니터링을 통한 적극적 감상 태도 증진; 넷째, 저널쓰기를 통한 자기 자기반성적 시각 견지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이해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및 자료의 진실성
Ⅲ. 초등무용교육 강의 과정
1. 강의 계획
2. 강의 준비
3. 강의 실천
Ⅳ. 초등무용교육 강의의 교육적 의미
1. 무용 수업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인식
2. 무용 창작을 위한 소통 능력 신장
3. 모니터링을 통한 적극적 감상 태도 증진
4. 저널 쓰기를 통한 자기 반성적 시각 견지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이강순 Lee, Kang-soon.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 김정희 Kim Jeong-hee. 동탄중앙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