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ew that Faulstich played a role in the history of the media in human history in which the medium has catalyzed changes in society as a whole, and that the medium-history transition in modern history has been more dominated and developed by the print media than by the traditional human media. Furthermore, it noted that the emergence of newspaper media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not only served as a source of new news and knowledge, but also as a catalyst for the formation of a public forum by collecting public attention, and further performing an enlightening function that enabled modern awareness. This time, Han Yong-u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 in the Japanese occupation, political and economic way of transmitting a newspaper serialization, in the media environment by many people's attention and selection. In the response met with readers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the assessment of the costs and coordination and the judgment of which countries have legitimacy in this regard are among the main issues of contention. Although the series was stopped by the closure of the Chosun Ilbo, Han Yong-u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was a fascinating story, which provided entertainment to readers so that they could serve as comforts for lif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also containing a complex aspect of the good and evil character of Caocao(曹操), at the same time, triggered a reason for his compatriot to endure the times when he and helped us to promote the sense of legitimacy of history.
한국어
이 연구는 파울슈티히가 인류 역사의 매체 역사에서 매체가 사회 전반 의 변화를 촉매하는 기능을 수행했으며 근대사에서의 매체사적 전환은 전 통적인 의미의 인간매체보다 인쇄매체가 그 자리를 점유하고 발전해왔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나아가 인쇄기술의 발달에 따른 신문 매체의 등장은 새로운 소식과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음은 물론, 대중의 관심 을 모아 공론장을 형성하는 촉매 역할을 하였고, 나아가 근대적 자각을 가능케 하는 계몽적 기능을 수행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한용운 『삼국지』는 일제강점기라는 정치경제적 환경 속에서 신문연재라는 매체 전달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많은 민중들의 관심과 호응 속에서 독자들 과 만나게 되었다. 『삼국지』에서 유비와 조조에 대한 평가 및 이에 관련하 여 어느 나라가 정통성을 지니느냐의 판단은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다. 일제의 조선일보 폐간에 의해 연재가 중단되었지만, 한용운의 『삼국지』는 이야기의 흥미진진함을 통해 독자들에게 오락적 재미도 제공하여 일제 식 민치하에서 삶의 위안으로 삼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조조라는 인물이 지닌 선악이 겸비된 복잡한 면모를 담고 있음으로써 그 자신과 그가 세운 왕조가 과연 정통성을 지니는가에 대한 사유를 촉발하며, 우리 동포들이 그 시기를 견디고 이겨나가도록 돕는 동시에 시의적절한 역사지식을 생산 하며 전파하고 있었다.
목차
1. 서론: 매체의 역사와 근대 매체의 등장
2. 근대 매체 환경과 한용운 『삼국지』의 신문연재
3. 한용운 『삼국지』에 의한 조조 관련 역사지식의 생산과 전파
3.1. 한용운 『삼국지』에서 생산되는 역사지식: 정통성 논의
3.2. 한용운 『삼국지』와 조조의 정통성에 관한 역사지식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