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 일반 논문 ]

和杜와 集杜 창작으로 본 조선 문인들의 杜詩 수용

원문정보

A Study on Korean literati’s reception and interpretation about Du-fu(杜甫) poems through He-yun(和韻) and Ji-ju(集句)

화두와 집두 창작으로 본 조선 문인들의 두시 수용

최석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we are aware, Du-shi(杜詩) has been recognized as the standard of traditional poetry within the cultural sphere in which the same writing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is shared.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Du-shi(杜詩),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standard of poetry in Chinese culture, and to explore the acceptance of later writers, this study dealt with the problem of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 Du-shi(杜詩) in Joseon(朝鮮). In this paper, however, unlike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He-yun(和韻) and Ji-ju(集句) were intended to focus on the re-texturing process of Dushi as shown in the playfulness. As mentioned, He-yun(和韻) and Ji-ju(集句) were initially based on amusement, but by the Song Dynast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re-textualization on the basis of respect for the original work. Thus, I used Joseon(朝鮮) literati’s He-du(和杜) and Ji-du(集杜) as research subjects to identify the memories of Joseon literati about Du-shi(杜詩) and the process of Du-shi(杜詩) re-texting. This allowed us to confirm that Joseon(朝鮮)’s creation of He-du(和杜) and Ji-du(集杜) originated from Joseon(朝鮮) literati’s neo-cofucianism literary psychology called ‘理性情’ and ‘達風敎’.

한국어

주지하듯이 杜詩는 한자라는 동일한 문자 체계를 공유한 문화권 내에서 전통 시학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고는 이렇듯 한자 문화권 내 시학 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온 두시의 영향과 후대 문인의 수용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조선이라는 특정 시기와 공간 속 두시에 대한 인식과 해석의 문제를 다루었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과는 달리 和韻과 集句라 는 유희적 시체 속에 드러나는 두시의 재문맥화 과정에 천착하고자 하였다. 언급한 바와 같이 화운과 집구는 비록 유희적 속성을 지닌 시체로 창작되었 으나, 송대에 이르러서는 원작에 대한 존경에 기초한 재문맥화의 과정으로 변화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 문인들의 和杜詩 와 集杜詩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내재된 조선 문인들의 두시에 대한 기억과 재문맥화 과정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조선의 화두와 집두 창작은 조선 문인들에게 깃들어 있던 ‘理性情’과 ‘達風敎’라는 이학적 문예심리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杜詩에 대한 기억의 흔적
2. 화운과 집구 창작의 시작과 역사
3. 조선 문인들의 和杜와 集杜 창작에서 보이는 망각과 오독
3.1. 조선 문인들의 和杜 창작, 그리고 杜詩에 대한 기억
3.2 조선 문인들의 集杜 창작, 그리고 杜詩에 대한 재문맥화
4. 조선 문인들의 杜詩에 대한 기대심리
5.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석원 Choi, Seok-won.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