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개발을 위한 핵심 범주와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Key Categories and Elements for Developing Graduate Program Guidelines in Archival Studies

이윤정, 정연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need for changes in archival studies curriculum has been steadily raised because of the wide variation of the curriculum in each graduate school. In this study, the foreign archival studies guideline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key categories and elements for developing the Korean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The five key categories and elements of the guideline include introduction, mission and goal, knowledge categories, administrative factors, and conclusion. On the other hand, the 10 knowledge categories to be learned by archivists include ① The Nature of Records and Archives, ② Selection, Appraisal, and Acquisition, ③ Arrangement and Description, ④ Preservation, ⑤ Reference and Access, ⑥ Outreach, Instruction, and Advocacy, ⑦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⑧ Social and Cultural Systems, ⑨ Legal and Financial Systems, and ⑩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knowledge categories need to be actively reflected by the opinions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archivists to improve the graduate curriculum.

한국어

한국의 기록관리교육은 대학원마다 교육과정의 편차가 커서 기록관리 교과과정의 변화에 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기록관리 교육지침서와 인증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개발을 위한 핵심범주와 요소를 도출하였다. 지침서는 서문, 사명과 목표, 교육내용, 행정적 요소, 결론으로 구성되며,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배워야 할 교육내용의 핵심 지식범주는 ① 레코드와 아카이브의 본질, ② 선별, 평가, 수집, ③ 정리 및 기술, ④ 보존, ⑤ 정보서비스와 접근, ⑥ 아웃리치, 지도, 옹호, ⑦ 관리와 행정, ⑧ 사회적, 문화적 시스템, ⑨ 법적, 재정적 시스템, ⑩ 정보기술 로 도출되었다. 향후 지식범주는 학계와 현장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대학원 교과과정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선행연구
1.3 연구 범위와 방법
2. 기록관리 교육지침서
2.1 SAA의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2016)
2.2 ACA의 Guidelines for a Graduate Program in Archival Studies (2019)
3. 기록관리 교육 인증기준
3.1 ARA의 Accreditation of Post-Graduate Qualifications Criteria (2018)
3.2 ASA의 Statement of Knowledge for Recordkeeping Professionals(2019)
3.3 ACA의 Handbook for Archival Certification (2019)
4. 외국 지침서와 인증기준의 비교⋅분석
4.1 기본 구조
4.2 공통 지식범주
5. 지침서의 핵심범주와 요소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윤정 Yun-Jung Lee.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박사과정
  • 정연경 Yeon-Kyoung Chung.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