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Christianity has been with the history of the nation in Korean society. Although the early missionaries focused on personal salvation as a revival, their public consciousness entered their ministry and played a large role in the social role of the Korean church. This consciousness led to the 3.1 Movement and became the driving force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Since then, this trend has faded in the period of revival in the 70s and 80s, leading to patterns of pioneering, revival and architecture. This is the result of the recession of the Korean church. After all, the way for the Korean church to live is to restore the nature of the church. We must regain the meaning of the kingdom of God and reclaim our mission as the body of the Lord. The church, which has become the Lord's body, should take the role of priest in this God-created and operated world and be oriented toward the kingdom of God. Pastoral ministry is diversifying these days.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ministry, forms of communication pastoral, welfare pastoral, community pastoral, and social economic pastoral are emerging. In the field, there are many forms of serving and communicating outside the center of the church. It is time for practical theology to respond. The word 'social' is ideologically misunderstood, but it is right to see it as a community that builds up the weak, as we see in social services and social security. This is in line with the long Bible tradition. This is particularly related to mission treatment, but this is a Western concept that suggests a new concept because it does not fit our situation. In particular, pastors are taking double positions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pastoral ministry, and the forms of ministry are becoming more diverse. Social ministry will be a way to help them serve not only the church but also the socialization of society, that is, social ministry.
한국어
한국사회에서 기독교는 민족의 역사와 함께 해 왔다. 초기 선교사들이 비록 부흥 세대로서 개인구원에 치중해 있었지만 그들이 가진 공적 의식은 그들의 사역에 드러 났고, 한국교회의 사회적 역할에도 기반이 됐다. 이러한 의식은 3.1운동으로 이어졌고 일제강점기에서 민족독립운동의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이후 이러한 경향은 70년대와 80년대 부흥의 시대에 퇴색했고 개척과 부흥, 건축의 패턴으로 이어졌다. 이후 한국교 회가 침체해간 것은 이러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결국 한국교회가 살 길은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의 의미를 되찾고 그 가운데 주의 몸된 교회로서 사명을 되찾아야 한다. 주의 몸이 된 교회는 하나님이 지으시고 운행하시는 이 세상에서 제사장의 역할을 감당하며 하나님 나라를 지향해야 한다. 요즘 목회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사회적 목회의 관점에서 보면 소통형 목회, 복 지형 목회, 지역사회형 목회, 사회적 경제형 목회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현장에서 교회 중심을 벗어나 사회에 봉사하고 소통하는 형태의 모습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 이다. 이에 실천신학이 응답해야할 때다. ‘사회적’이라는 단어는 이념적으로 보아 오해하기 쉬우나 우리가 사회적 서비스, 사 회보장 등에서 보고 있는 바와 같이 약자를 세워 만들어 가는 공동체라고 보는 것이맞다. 이는 오랜 성서의 전통과 맞닿아 있다. 이는 특히 미션얼 처치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으나 이는 서구의 이론으로 우리의 상황과 맞지 않는 면이 있기에 새로운 개 념으로 제안한다. 특히 목회자들이 목회의 어려움 때문에 이중직에 나서며 목회의 모양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회적 목회는 이들을 교회뿐만 아니라 사회의 공동체화, 즉 사회적 사역에 봉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하나님 나라와 교회의 사명
III. 사회적 목회의 필요성
IV. 사회적 목회의 개념 정의
V. 현실적 인식: 목회자의 현황과 이중직
VI. 나가는 말 : 사회적 목회로 나아가라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