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재로써 공인탐정이 가지는 직업적 가치와 타당성

원문정보

Occupational Values and Validity of Certified Investigators as Public Goods

최호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iscusses the occupational value and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an accredited detective system that is not the only OECD country.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study were developed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review of various previous studies and case analysis in related field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tectives have various social values as public goods. It is basically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and secure the soundness of national finance. This can further enhance the confidence of the people in state institutions. Second, as detectives are already legally recognized in other countries, they will be able to fulfill their social roles as new jobs through cultivation. Next, in order to advance research in the field of accredited detective systems, research based on quantitative data should be more active.

한국어

이 연구는 OECD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없는 공인탐정제도를 도입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는 직업적 가치와 타당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연구의 절차와 방법의 다양한 선행연구검토와 사례연구를 통한 질적연구 방식으로 전개되 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정은 공공재로써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본적으로 공공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국가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국가기관에 대한 신뢰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탐정은 이미 다른 국가에서도 합법 적으로 인정되는 만큼, 양성화를 통해 신 직업으로써의 사회적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공인탐 정제도 분야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양적 데이터에 기반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 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탐정에 관한 이론적 논의
2.1 탐정의 의의
2.2 탐정의 업무영역
3. 선행연구검토
4. 공공재로써 탐정이 가지는 사회적 가치
4.1 공공재로써의 탐정업
4.2 국가기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한계
4.3 사회적 신뢰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최호택 Ho-Teak Choi. 배재대학교 서재필대학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