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记忆的型塑 : 日本侵华战争叙述(1949-1963)

원문정보

Formation of Memories: Description of the Sino-Japanese War(1949-1963)

기억의 형성 : 중일전쟁에 대한 서술(1949-1963)

李少鹏, 柳智元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topic of “Memories” has been in the center of interest in historical circles. In particular, a certain group’s “Memories” of an event often turn into “Selective Memories” or “Selective Forgetting” for a variety of reasons faced by the group. “History” can thus be defined as memori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is selecting and reorganizing process. This process of the “Modification of Memories” sometimes takes the form of a historical description from the viewpoint of a group, often led by a power group. One of the examples is a phenomenon observed during the formation of Chinese Memories of Japan’s invasion of China in the early year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formation of memories of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of China from the time of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until the outbreak of the Sino-Soviet border dispute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period from 1949 to 1951 when China adhered to a foreign policy focused on its relationship with the Soviet Union. The second stage corresponds to the period from 1951 to 1957 when China sought to establish diplomatic ties with Japan, releasing many war criminals and promoting exchanges in the private sector. The third stage refers to the period from 1957 to 1963 when Japan, together with the US, adopted the “Two Chinas” policy, which deterio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Japan and resulted in the stagnated nongovernmental exchanges. The Memories of a War also reflect political reality, which is well illustrated by the Chinese Memories of the Sino-Japanese War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Due to a complicated situation caused by the Chinese Civil War, aid to North Korea, and the foreign policy seeking the establishment of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of Memories,” which involved the suppression of the Memories of the Sino-Japanese War at the national level, took place. Most of the Chinese Memorie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remained suppressed from 1949 to 1963, but not completely forgotten. It is clear, however, that the formation of memories during this period was highly affected by the national foreign policy.

한국어

최근 “기억”이라는 주제가 많은 역사학계의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어떤 사건에 대한 모(某) 집단의 “기억”은 그 집단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종종 “선택 적 기억” 혹은 “선택적 망각”이 되기도 한다. “역사”는 이렇게 선택과 정리를 거친 기억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억의 수정(修正)”은 어떤 집단의 입장에서 쓰여 진 역사적 서술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권력을 가진 집단에 의해 종종 추진되기도 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예로써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초기에 일본의 중국 침략에 대한 기억 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현상을 꼽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시기부터 중소분쟁직전까지에 있어서 일본제국주의의 중국 침 략 전쟁에 대한 기억은 정부의 정책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단계 는 1949-1951년까지로 중국이 대소 일변도 외교정책을 추구하였고, 제2단계는 1951-1957년까지로 샌프란시코조약이 체결된 이후 중국이 일본과 수교를 추진하던 시 기로 전범들을 대량 석방하고 민간교류가 활발히 추진되었다. 제3단계는 1957-1963년 까지로 일본이 미국과 함께 “두개의 중국” 정책을 추진하게 되어 중일관계가 악화되어 민간교류마저도 침체에 빠지게 되었다. 전쟁의 기억은 한편으로는 현실정치의 반영이기도 한데,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초기 의 중일전쟁에 대한 기억이 바로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공내전과 한국전쟁시기 북한에 대한 원조 그리고 일본과의 우호관계 수립을 희망하는 중국의 외교정책 등과 겹쳐지면서 중일전쟁에 대한 기억을 국가적 차원에서 억제하는 “기억의 일원화(一元 化)”상황이 전개되었던 것이다. 1949-1963년 사이 일본의 중국 침략전쟁에 대한 중국 측의 기억은 대부분 억제되고 있는 상태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철저히 망각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 시기 기억의 형성은 외교정책에 의해 좌우되어졌던 것은 분명하다.

중국어

最近 “记忆” 的主题成为众多历史学界新的关心的对象。特别是某集团对某一事件的 “记忆”, 往往成为 “选择性记忆” 或 “选择性遗忘”。这樣的“记忆的修正”, 有时往往被一 个拥有权力的群体推动。可以举出这样一个典型的例子就是在中华人民共和国成立初 期,日本侵略中国的记忆形成过程中出现的现象。 中华人民共和国成立初期的中日关系大致可以分为三个阶段:第一个阶段是 1949-1951年,由于日本尚在被美国占领期间,而中国则采取了对苏 “一边倒” 的外交方 针,此时中国的对日政策整体从属于社会主义阵营;第二阶段是1951-1957年,自旧金 山和约生效至岸信介内阁成立,这期间中国开始致力于恢复中日邦交,对日本释放了极 大的善意,两国的民间交往非常活跃,官方也在互相接近;第三阶段是1957-1963年, 自岸信介访台至中苏交恶为止,此期间日本追随美国制造 “两个中国”,中日关系趋冷, 受政治关系恶化的影响,两国的民间交往也一度停滞。 本文拟对1949-1963年新中国的抗战史叙述模式可以从三个维度来敍述。其一就是随 着新中国的外交路线从 “亲苏” 到 “反美”,为了争取国际对华友好势力而模糊 “反日帝” 与 “反美帝” 之间的区别,甚至为团结日本的民主力量而将日本战前战后切割、淡化美 日在太平洋战场上相互对抗部分;其二就是秉持中日友好、恢复邦交的初衷,在涉及对 日民间交往方面给予方便,同时尽量避免唤起中国民众在抗日战争中的受害者体验,争 取日本对华友好势力;其三就是用“抗日胜利的荣耀属于中国人民→ 中国人民选择了中 国共产党→ 新中国(较台湾)对日政策更为宽容”的图式吸引日本,用抗美援朝和内战 记忆来掩盖日本侵华战争记忆。 战争记忆是现实政治的映射, 在新中国成立初期表现的特别明显。由于受到国共内战 和抗美援朝记忆的遮蔽, 再加上当时中国想要同日本友好的愿望及日本民间力量的对华 友好活动, 这些 “合力” 促使我们客观上抑制了日本侵华战争记忆的甦醒, 即用 “遗忘” 的 方式对待民间的抗战记忆, 表现出 “一元化” 的色彩。中国的 “一元化” 战争记忆模式, 恐 怕是当前中国在日本侵华战争叙述问题处理上的一大难题。

목차

Ⅰ. 序论
Ⅱ. 日本侵华战争责任 “二分论” 的源流
Ⅲ. 抗战记忆的维度之一 : 从亲苏到反美
Ⅳ. 抗战记忆的维度之二 : 不咎既往, 面向未来
Ⅴ. 抗战记忆的维度之三 : 胜者荣耀与 “中流砥柱”
Ⅵ. 结论
参考文献
국문초록
中文摘要
Abstract

저자정보

  • 李少鹏 이소붕. 中國 北华大学东亚历史与文献研究中心 讲师
  • 柳智元 유지원. 원광대학교 역사문화학부 교수, 한중역사문화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