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빅 데이터 활용에 의한 상업교육 관심 트랜드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Trends of Interest in Commercial Education by Big Data Application

황욱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recently, prior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revitalize commerci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lack of education policies required by businesses that are the main subjects of commercial education, and the reduction of the desire to enter commercial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But, Existing studies lacked the basis for generalization by conducting fact-finding or exploratory studies and empirical verification of limited subjects. Thus, in this study, big data on commercial education in social networks, where opinions from countless people are expressed, were put into analysis tools Textom program, Ucinet6 program, NetDraw program, etc. to extract trends of social interest and propose direction of generalization. As a result, the government needs dual programs for employment and advancement in specialized high schools, connecting universities with universities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focusing on business practice certificates, education for linking industrial and academic cooperation, and policies for focusing on tourism, business and finance. Also, the trend of interest in commerci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was drawn. Currently, there are 'technology' courses in middle school curriculum, but 'commercial' courses are not available. so it is necessary to open commercial subjects eve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search for career paths.

한국어

최근까지 상업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는 수요자인 기업이 필요로 하는 교육정책의 미흡, 상업계 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에 진학하고자 하는 욕구 감소 등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하 여 실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실태조사 또는 탐색적 연구, 연구대상이 제한된 실증적 검증 등을 실행하여 일반화를 위한 근거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의 의견이 표출되는 소셜 네트워크의 상업교육 관련 빅 데이터를 분석도구 텍스톰(Textom) 프로그램, 유씨넷(Ucinet6) 프로그램, 넷스로우(NetDraw) 프 로그램 등에 투입하여 사회적인 관심 트랜드를 추출하고 일반화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특성화 고등학교의 취업과 진학 이원화 프로그램,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대학교와의 협약된 진학 연계, 기업실무관련 자격증 중심 교육 그리고 산학협력 연계 교육, 관광, 비즈니스, 금융에 대한 집중화 정책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의 상업교육에 대한 관심 트랜드가 도출되었다. 현재 중학교 교과과정에 ‘기술’ 교과목은 있으나 ‘상업’ 교과목은 없기 때문 에 중학생들의 진로탐색을 위해서라도 상업교과목 개설이 필요하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상업교육 활성화정책 분석 행태
2. SNS 빅 데이터 사회연결망 분석
Ⅲ. 연구 설계
1. 상업교육 빅 데이터 활용 분석 절차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1. 데이터 수집
2. 주요단어 빈도분석 결과
3. 상업교육 관련 주요 단어 전체 네트워크 분석
4. 상업교육 관련 데이터 중심성 분석 결과
5. CONCOR(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욱선 Hwang, Ug-Sun. 한라대학교 경영사회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