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local performing arts market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posting sales of over 800 billion won for the past two consecutive years. The revenue from sales of performance tickets accounts for about half of the total performance market, with the revenue from ticket sales for the 2018 musical performance accounting for 64.1 percent of the total performance ticket sales revenue, while the revenue from the opera’s performance ticket sales accounts for only 1.5 percent. Local musicals have grown rapidly since the success of the Phantom of the Opera in 2001, becoming a representative cultural content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On the other hand, the opera, which becomes the parent of a musical, remains at the bottom of the performance market share despite its high-quality music and artistry. The overwhelming proportion of musicals is the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local musicals, which are sensitive to public demand. In particular, Jukebox Musical is gaining popularity in the world's performance industry recently, and it has been leading to the production and success of creative jukebox musicals in Korea, starting with the success of licensed jukebox musicals. In particular, Jukebox Musical, which combines musical and pop, has gained popularity and dominated the stage of performing arts. The performance of these jukebox musicals is being mixed in a variety of ways by borrowing from other adjacent genres. The opera industry is also trying to develop content that borrows the form of a jukebox musical, but it is still immature. The development of opera works through the use of jukeboxes should go beyond being the focus of existing opera audiences, and be the foundation of the work that enables the development of new audience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ocus public attention on the opera by seeking out the success factors of the jukebox musical and applying it to fit the opera’s works. This could be a kind of trigger that leads the public to interest and enjoyment in opera. The study for popularizing opera sets the foundation on which the local opera sector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and serves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in the performing arts sector.
한국어
최근 국내 공연예술 시장의 규모가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뮤지컬 공연은 가파르게 성장 하는 반면, 오페라 공연은 정체가 지속되고 있다. 국내 뮤지컬은 2001년 <오페라의 유령>의 성공 이후 급 속히 성장하여 공연예술 시장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뮤지컬의 모체가 되는 오 페라는 높은 예술성을 지닌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공연시장 점유율에서 최하위를 면치 못하고 있다. 뮤지 컬이 차지하는 압도적인 비중은 국내 뮤지컬이 대중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발전한 결과이다. 최근 세계 공연계에서는 뮤지컬과 팝(Pop)을 융·복합시킨 주크박스 뮤지컬(Jukebox Musical)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라이선스 주크박스 뮤지컬의 흥행을 시작으로 창작 주크박스 뮤지컬의 제작과 성공 이 잇따르고 있다. 이러한 주크박스 뮤지컬의 형식은 인접한 다른 공연예술 장르에서 활용됨으로써 또 다른 융·복합 작품의 재생산으로 이어지고 있기도 하다. 오페라 분야에서도 주크박스 뮤지컬 형식을 차 용한 콘텐츠 개발 시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미숙한 단계이다. 주크박스 형식의 차용이 오페라 공연 의 부흥으로 이어지려면, 이러한 작업의 결과로 만들어진 작품이 기존의 오페라 관객만의 관심대상이 되 는 것을 넘어서, 새로운 관객 개발로까지 나아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크박스 뮤지컬의 성공 요인을 살펴보고 오페라 작품에 맞게 응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오페라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환 기하고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는 전통적인 순수예술 장르에 속하는 오페라가 타 장르의 형식에 대한 활용 등을 통해 새롭게 재탄생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오페라의 대중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국내 오페라 분야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며, 현재 일부 장르에 편중되어 있는 국내 공연예술 분야의 균형 있는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Ⅱ. 융·복합 콘텐츠로서의 주크박스 뮤지컬
Ⅲ. 국내 오페라 현황과 주크박스 형식의 오페라 출현
Ⅳ. 국내 주크박스 오페라의 포지셔닝을 위한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