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헤겔에게서 내재적 목적론의 구상 (Ⅰ) - 예나 시기의 문헌들과 『논리의 학문』에서의 목적-수단 관계에 대한 고찰 -

원문정보

Conception of Immanent Teleology in Hegel (I) - A Study on the Purpose-Means Relations in the Literatures of Jena Period and the Science of Logic -

정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egel's teleology is often understood as the metaphysics of the mind, which consists of a self-externalization of the mind and a movement of comeback to itself. According to this, the stages and the moments through which the mind passes are merely a vehicle for achieving the final goal of self-identity recovery. However, this conception only remains within the framework of external purposiveness. The subject who uses the "cunning" in the practical philosophical connection of labor also remains within this framework. It uses its tools to make its purpose realized in the objective world without its being damaged. At the time of Jena, using this concept of the "cunning", Hegel still grasps the purpose-means relationship within the external purposiveness. However, according to his idea of internal purposiveness in the Science of Logic, the descriptive concept of "cunning", which was developed at the time of Jena, is transformed into a more general category, the critical concept of "cunning of reason". According to Hegel in the chapter on 'Teleology' of the Science of Logic, the realization of subjective purposes through the "cunning of reason" is to be violent, no matter how it is indirectly made through the use of means, in the sense that this realization is still to be executed in the extraneous world of objects. On the contrary, the connection of internal purposiveness consists in understanding the purpose, which is given only as subjectively at the point of departure, as the whole process, in which this purpose is realized in the object world beyond its subjective closure.

한국어

헤겔의 목적론은 많은 경우 정신의 자기외화와 자기복귀의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정신의 형이상학’으로 이해된다. 이에 따르면, 정신이 거쳐가는 단계들과 계기들은 자기동일성의 회복이라는 최종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개수단일 뿐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상은 외적 합목적성의 틀 내에 머무를 뿐이다. 노동의 실천철학적 연관에서 도구 사용을 통해 자신의 목적이 훼손당하지 않고 대상 세계에서 실현되게 하기 위해 ‘간계’를 사용하는 주체 역시 이러한 틀 내에 머무른다. 이러한 ‘간계’ 개념을 사용하는 예나 시기의 헤겔은 아직 외적 합목적성의 연관 안에서 목적-수단 관계를 파악한다. 그러나, 그가 『논리의 학문』에서 제시한 내적 합목적성의 구상에 따르면, 예나 시기에 개진된 ‘간계’라는 기술적 개념은 『논리의 학문』에 이르면 보다 일반적인 범주로서 ‘이성의 간계’라는 비판적 개념으로 발전한다. 헤겔은, 이성의 간계를 통한 주관적 목적의 관철은 여전히 낯선 것으로서 전제되어 있는 대상적 세계에 대해서 이루어진다는 의미에서, 제 아무리 수단의 사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폭력적일 수밖에 없다는 점을 『논리의 학문』의 ‘목적론’ 장에서 분명히 보여준다. 이에 반해, 내적 합목적성의 연관은, 출발점에서는 단지 주관적으로 정립된 것으로서 이해된 목적이 자신의 규정을 주관적 폐쇄성을 넘어 대상 세계에 실현되어가는 과정 전체로서 파악하는 데에서 성립한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예나 시기의 실천철학적 목적연관
3. 『논리의 학문』에서의 목적-수단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대훈 Jung Dae Hun.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융합학부 교육전담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