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raining Needs Analysis of the Consultant Providing Employment Support Services for Middle-aged Peopl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job competency of the consultant providing employment support services for middle-aged people.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for consultants working at the Middle Aged Job Hope Center. At first, a training module pool was constructed using the NCS, and the final training module was derived through verification of job experts in FGI. Next,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the education modul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test,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priorities for the edu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raining needs, 39 training modules for career consultants of the middle aged job hope center were derived. Also, for group of less than 3 years or over 3 years, the highest priority module and subpriority education module were derived.
한국어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공공고용서비스 분야에서 중장년층의 취업상담 및 직업알선, 취업능력향상프로그램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중장년 고용지원 컨설턴트의 직무역 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에 근무하 는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 여 교육모듈 풀(pool)을 구성하였고, FGI에서 직무전문가의 검증을 통해 최종 교육모듈 을 도출하였다. 2단계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모듈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파악하 였고,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실시하여 교육모듈 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의 컨설턴트에게 필요한 교육모듈로 39개가 도출되었 고, 경력 3년을 기준으로 컨설턴트를 구분하여 3년 미만, 3년 이상의 경력 컨설턴트의 교육요구에 따른 최우선 순위 교육모듈, 차우선 순위 교육모듈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결 과를 토대로 중장년 고용지원 컨설턴트의 직무교육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결과의 활용 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중장년 취업 희망자의 특성 및 중장년 고용의 특성
2. 중장년 고용지원 제도 현황 및 컨설턴트 업무
3. 고용지원 서비스 대상자의 교육요구 분석 연구
III. 연구방법
1. 교육모듈 도출
2. 교육요구 분석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