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Cosmos Block Chain
초록
영어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with the counterfeit and modula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sought improvement measures.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collectively refers to a system that input, arrangement, and storages work data or medical care, surgery, and examination records based on the calculation of patients' medical practices. Therefore, medical institutions are able to provide consistent treatment to patients as a value for their business use and are able to use it as legal evidence in the event of a medical dispute as a value for supporting internal and external accountabili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take countermeasures against electronic records as they are frequently manipulated internally and externally. Block chains are currently being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and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edical field, but the level of adoption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s insufficient. It is urgent to study and introduce block chains, such as Cosmos block chains, which are compatible with other block chains at a time when block chains are absolutely necessary to ensure the integrity and security of records by preventing forgery and modul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위·변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고 있는 블록체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은환자의 진료행위를 중심으로발생한 업무상의자료나 진료 및수술·검사 기록을 전산에 기반하여 입력·정리·보관하는 시스템을 통칭한다. 그렇기에 의료기관에서 업무적 활용가치로서 환자에게 일관성 있는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되며 대내외적 설명 책임의무를 지원하는 가치로서는 의료분쟁 시 법적 증거로활용 가능하다. 하지만 내·외적으로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위·변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면서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블록체인 도입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이 도입되고 있으며 의료분야에서도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자의무기록시스템에 도입된 수준은 미비하다. 위·변조를 방지하여 기록의 무결성과 보안성까지 보장해줄 수 있는 블록체인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 시점에서 다른블록체인과 호환이 가능한 코스모스 블록체인과 같은 블록체인에 대한 연구와 도입 마련이 시급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전자의무기록시스템과 블록체인에 대한 논의
Ⅲ. 블록체인 도입실태와 코스모스 블록체인 도입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