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내 장애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 체계적 고찰

원문정보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 Systematic Review

홍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 for a systematic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s and interventions for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2010 to September 2019. The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atabases. The key words wer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 self care’,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 self management’,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 occupation’, ‘occupational therapy & eating’, ‘occupational therapy & AMPS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occupational therapy & Wee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Results : A total of 14 studies were analyzed, the qualitative level Ⅳ, Ⅴ of the study was 72% of the total research. The diagnosis of participants included 50% intellectual disorder and 20% brain lesion, including cerebral palsy.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to assess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to therapy was sensory integration therapy. The intervention effect of all studies was positive, however, the use of group programs on the occupational therapy on children with intellectually disorder didn't work. Conclusion : In Korea, there are no articles that systematically analyze whether occupational therapy improves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활동 향상을 위해 아동·청소년 작업치료를 적용한 국내 논문을 체계적 으로 분석하여 참여자의 진단명, 사용한 평가도구, 중재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2019년 9월 30일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엔진 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학술정보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검색어는 ‘아동작업치료 & 일 상생활’, ‘아동작업치료 & 자조’, ‘아동작업치료 & 자기관리’, ‘아동작업치료 & 작업’, ‘작업치 료 & 식사하기’, ‘작업치료 & AMPS(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작업치료 & Wee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이었다. 결과 : 총 14편을 분석하였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Ⅳ, Ⅴ가 각각 36%로 총 연구의 72%를 차지하였 다. 참여자의 진단명은 지적장애가 50%를 차지하였고 뇌성마비를 포함한 뇌병변이 20%이었다.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36%를 보였고, WeeFIM이 22%, 관찰이 13%이었다. 중재방법으로 가 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감각통합치료로 36%이었고, 인지프로그램이 22%이었다. 지적장애 아동에 게 자조활동 그룹치료를 적용한 한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중재효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 체계적 고찰방법을 통해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작업치료 적용을 알아본 국내의 연구는 없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작업치료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검색 및 자료 수집
2. 대상 연구의 질적 분석
3. 자료 제시 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의 질적 수준
2. 연구 참여자의 특성
3. 평가방법
4. 중재방법 및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은경 Hong, Eunkyoung. 신성대학교 작업치료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