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a Korean-Translated Version of the 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K) using classical test theory. Methods : For the translation of 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 as recommended in the literature, four-stage translation method was used. For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K),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test using the known groups method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methods were examined. For the recruitment of participants,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s use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hospitalized two different rehabilitations center and 10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living in Daejeon, South Korea. All 20 participants were in aged from two to five years. Results : In terms of the content validity index, it was over 0.78, confirmed by nine experts of children development. PVQ-K successfully discriminated the scores of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from those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p < .05). It is found that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stage of PVQ-K and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 (K-DTS)(.652 ∼ .799 for subcategory, .706 for total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944 (Cronbach’s α). I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t was examined that how Korean children behave and respond in the environment, and how children’s volition was strengthened or weakened by the environment. Conclusion : The results propose that PVQ-K can be a useful occupation-focused measure. This study recommend further study on PVQ-K with larger samples combined with the item-response theory approach.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 PVQ)을 국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4단계 번역과정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타당도 및 신뢰도검증, 질적 해석을 통한 국내 적용가능성 및 방향성의 사전 연구를 실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대전에 거주하고 있는 만 2세∼5세의 일반아동 10명과 신경발달장애 아동 10명으로 총 20명이 대상이며, 편의 표본 추출법이 사용되었다. 번역과정은 번역, 역번역 검증, 이해도 검증 및 번역검증위원회 과정을 거쳤다.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내적일치도, 질적 해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 적합도에서 .78이상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판별타당도에서 일반아동그룹의 총점 이 통계적으로 높았다(p<.05). 수렴타당도는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Pediatric Volitional Questionnaire-Korean version; PVQ-K)의 성취영역과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 K-DST)(하위 범주 간 상관관계 .652 ∼ .799, 총점 .706)사이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모든 항목에 대한 내적일치도(Cronbach’s α)는 .944로 나타났다. 질적 해석을 통해 아동 이 환경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는지 관찰하고 무엇에 의해 작업의지가 강화되거나 약화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가 작업-초점 측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초기 근거를 제공하 며, 추후 문항반응 이론(item-response theory) 및 더 큰 표본을 통한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의 추가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번역 도구
2.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의 번역과정
3.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Ⅲ. 연구 결과
1.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의 타당도 검증
2. 한국판 아동용 작업의지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Ⅳ. 고찰
Ⅴ. 결론
감사의 말씀
참고문헌
Appendix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