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Depending on Gender in College Students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martphone addition and sensory processing character depend on gender for occupational therapy (OT)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Methods :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8 (70 male/90 female) students majoring occupational therapy. Measurements in this study were a questionnaire about general information of subject,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adult/adolescent sensory profil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November 2017 to March 2018.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of SPSS 22.0. Results : In term of the purpose of using smartphone, majority response was communication and gaming ranked in next.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total smartphone addition, cyberspace-oriented relationship, withdrawal and tolerance. The result showed that all sensory processing are related with total smartphone addition (r = .236 ∼ .603) for man. And for women, total smartphone addition is little related with the taste/smell processing (r= .290), visual processing (r= .324), touch processing (r= .214), low registration (r= .214), sensory sensitivity (r= .243), and sensory avoiding (r= .217).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tion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according for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성별을 구분하여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차이를 알아보고, 감각처리특성 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자는 작업치료학을 전공하고 있는 169명의 대학생이었고, 연구기간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3월 까지이었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로 일반적 특성, 스마트폰 중독척도, 성인/청소년 감각프로파일로 구성된 설문지를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2.0의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피어슨 상관분석으로 하였다. 결과 : 남학생 70명과 여학생 9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스마트폰의 사용하는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이용에서 가장 응답이 높았고, 그 다음 순이 오락이었다. 남녀 사이의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스마트폰 중독 합계(p=.000)와 가상세계지향 (p=.008), 금단(p=.000), 내성(p=.000)에서 보였다. 남학생에서는 스마트 폰 중독과 모든 감각처리 요소와 영역이 관련성이 있었다(r= .236 ∼ .603). 여학생에서 스마트폰 중독합계와 감각처리요소의 맛/남새 처리(r= .290), 시각처 리(r= .324), 촉각처리(r= .214), 사분면 중 저등록(r= .214), 감각 민감(r= .243), 감각 회피(r= .217)와 중독합계가 낮은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 :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의 상관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 평가 및 중재시 감각처리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분석방법
Ⅲ. 결과
1.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징
2. 남녀 대학생의 스마트 폰 중독과 감각처리 비교
3.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와의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