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 그룹 작업치료의 효과 : 체계적 고찰

원문정보

The Effect of Group Treatment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 A Systematic Review

이가영, 이지호, 김보람, 김경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via systematic review, and to provide clinical evidences. Methods : The systematic review initially included articles in Pubmed, Ovid, RISS, KISS, and DBpia, published until 2014. Total 14 articles have been chosen, using different keyword of each domestic/foreign studies. Selected articles were divided depending on the level of evidence, and eventually been organized into group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more diagnosed children than normal in participants and especially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28.6%) appeared to be the most common. In intervention,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had the largest frequency, and instruments measuring social skills were used most for analyzing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40.7% of Total. Conclusion : Group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should be provided to various diagnosis with widely better quality of interventions providing the enough support for the evidence level.

한국어

목적 :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그룹 작업치료에 대한 효과를 체계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아동 그룹 작업치료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외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Pubmed와 Ovid를 국내 검색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디비피아(DBpia)를 사용하여 2014년까지의 국외/국내 학회지를 검색하였다. 국외/국내 검 색어를 다르게 사용하여 총 14개의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근거의 질적 수준에 따라 나누고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정상아동보다 진단을 받은 아동이 많았고, 감각통합장애 아동(28.6%)이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은 그룹감각통합치료(40%)가 가장 많았고, 중재 결과 분석을 위해 사용된 평가 영역 및 평가도구로는 사회성(31.0%) 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 가장 많았다. 중재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전체의 40.7%이었다. 결론 : 앞으로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그룹 작업치료는 다양한 진단군을 대상으로 폭 넓은 중재내용을 통해 높은 근거수준의 효과가 입증 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방법 및 연구대상
2. 연구 근거의 질적 수준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그룹치료를 받은 아동의 특징
2. 그룹치료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
3. 그룹치료에서 사용된 중재
4. 근거수준Ⅱ 연구디자인에 따른 분석
5. 근거수준Ⅲ 연구디자인에 따른 분석
Ⅳ.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가영 Lee, Ga-Young. 소리나라언어발달치료센터
  • 이지호 Lee, Ji-Ho. 양산서울요양병원
  • 김보람 Kim, Bo-Ram. 푸르메재활센터
  • 김경미 Kim, Kyeong-Mi.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