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동의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Based on Vestibular-Proprioceptive System for Children in Korea

박영주, 공인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korean children which focused on vestibular - proprioceptive system. Methods : Authors systematically searched published studies in DBpia, KISS and RISS database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5. Key words in the search wer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vestibular-proprioceptive'. By us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 selected seven studies for further analyses examining level of evidence and methodological qualities. Information for the analyses were on study designs, participants, interventions, outcome measures and results. Results : Grade Ⅳ rated evidence was found from five studies, and Grade Ⅲ and Grade Ⅴ rated evidence was found from one for each study. The methodological levels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fair' (2) and 'poor' (5). Subjects for the studies were developmental delay (5), Asperger Syndrome (1), and not specific diagnosis (2). Single-subject design was most frequently used and motor area were most frequently evaluated. The interventions used the studies showed positive effects on outcome measures. Conclusion : This study presented the summary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based on vestibular-proprioceptive system for Korean children. More studies with high level of evidence and various study designs need to be followed.

한국어

목적 :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하는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여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8∼9월 동안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감각통합중재’, ‘감각통합치료’, ‘전정-고유감각’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7개의 연구 를 선정하였다. 각 연구는 근거의 질적 수준과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연구 설계와 대상자, 중재, 결과측정, 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에 포함된 연구의 근거수준은 수준 Ⅲ이 5개, 수준 Ⅳ가 1개, 그리고 수준 Ⅴ가 1개이었다. Down과 Black의 기준에 따라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을 살펴보면, ‘완벽’과 ‘우수’는 0개, ‘보통’은 2개, ‘나쁨’은 5개이었 다. 발달지연을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가 가장 많았고 결과측정은 운동영역에 대한 평가요소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결과는 평가영역에 대한 긍정적인 향상이나 긍정적인 감소를 보였다. 결론 : 국내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의 특징을 제시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이에 대한 정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앞으로 감각통합 중재에 대해 높은 근거 수준과 다양한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및 과정
2.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근거의 질적 수준
2. 연구근거의 질적 수준 및 방법론적 질
3.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 대상 진단군
4. 전정-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 및 결과 측정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주 Park, Youngju.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공인주 Kong, In-Joo.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