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기반 작업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원문정보

A Systematic Review on Effects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정남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We systematically reviewed studies published in PubMed and Ovid from 2000 to June 2014 using keyword 'school' or 'children' and 'occupational therapy'. Fourteen studies were selected. The level of evidence, participants, assessment, intervention area, method and effects were analyzed by reviewing full text. Results : The most group and age of participants were normal child with fine motor difficulties and 6~8 years old in selected studies. The most target area of intervention was handwriting, fine motor and visuo-motor integration (68.8%) and the most method was direct treatment (71.4%). The top on the assessment was Beery-Buktenica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14.9%) and next was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1.1%). Effects of school based occupational therapy were founded in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learning skill, level of participation, fine motor, play and behavioral problem. Conclusion :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s evidence concerning the participants, intervention, assessment and effects of school based occupational therapy. It should be used for basic data for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학교기반 작업치료 중재 및 평가에 관한 근거마련을 위하여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이후부터 2014년 6월까지 PubMed와 Ovid의 데이터베이스에서 school or children and occupational therapy의 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여 총 14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본문을 통해 대상연구의 근거수준, 대상자, 평가도구, 중재영역 및 방법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정상아동(64.3%)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자폐(14.4%)이었다. 연령은 6~8세(35.7%)로 가장 많았 고, 다음은 5~7세와 5~12세(14.4%)이었다. 중재영역은 글쓰기 및 소근육과 시운동 통합(68.8%)이 가장 많았고, 중재방법은 직접치료(71.4%)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 분석결과, Beery-Buktenica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14.9%)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1.1%)이었다.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시운동 통합, 학습 기술, 참여 수준, 소근육 운동, 놀이, 행동적 문제에서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 대상자, 평가도구 및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는 학교 기반 작업치료 임상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학교기반 작업치료 대상 아동
2.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
3.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효과 측정을 위한 도구
4.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효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남해 Jung, Nam-Hae. 인제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