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사물조작기능, 대동작기능의 상관관계 연구

원문정보

The Correlation Among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the Manual Ability and the Gross Motor Function

고유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dis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as a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and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Methods : The subject was 82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validity was aexamined by calculation of correlation between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an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Results : There were a goo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BI and MACS (r = -.765, p <0.001), the MBI and the GMFCS (r = -.851, p < 0.001) and the MACS and the GMFCS (r = .615, p <0.001). Conclusion :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MBI that is used as the basis of grading cerebral palsy an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CS, GMFCS suggest that dis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the MBI could be usefu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일상생활활동수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도구인 수정바델지수 (Modified Barthel Index: MBI)와 사물조작 기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와 대동작 기능 분류체계(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장애판정 지표인 MBI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자는 전문재활병원에서 작업치료와 물리치료를 받고 있는 뇌성마비 아동 82명을 대상으로 MBI, MACS, GMFC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사물조작기능, 그리고 대동작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는 MBI와 MACS간의 상관계수가 -.765(p<0.001)로 높은 음의 상관을 나타냈고, MBI와 GMFCS 는 상관계수가 -.851(p<0.001)로 높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MACS와 GMFCS의 상관계수 또한 .615(p<0.001) 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뇌성마비 유형에 따른 MBI의 각 항목과 MACS, GMFCS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는 모든 뇌성마비 유형과 관련하여 MBI의 항목과 MACS와 GMFCS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뇌병변 장애등급 판정 기준으로 사용하 는 MBI와 MACS, GMFCS와의 높은 상관관계는 장애판정 지표인 MBI를 뇌성마비 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유용하 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자
2. 연구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뇌성마비유형에 따른 MACS와 GMFCS의 분류
3. 뇌성마비 유형에 따른 MBI 평가 결과
4. MBI와 MACS, GMFCS와의 상관관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유정 Ko, Yu-Jeong. 군장대학교 작업치료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