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일본 여성참정권 운동과 정당정치, 1924~1932 : 이치카와 후사에와 ‘부선획득동맹’의 운동 전략 및 그 변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Women’s Suffrage Movement in Modern Japan and Party Politics, 1924~1932 : Fusae Ichikawa, Movement, Strategy of ‘Woman’s Suffrage Aquisition Alliance,’ and Its Changes

이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studies the history of so-called “fusen (婦選) movement,” or women’s suffrage movement,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of women’s movement in modern Japan. Specifically, it focuses on Fusae Ichikawa and “Women’s Suffrage Acquisition Alliance (婦選獲得同盟, fusen kakutoku dōmei).” Unlike previous studies on fusen movement which mainly were motivated to find the origin of “war cooperation,” this article has two unique characteristics. One is that the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e trend of fusen movement through the changes in Japanese political regime at the time, which is the counterpart of the movement itself, as well as the changes that followed in the strategies of fusen movement. The other is that the article emphasizes the impact of examples from the U.K. and the U.S., where women’s suffrage was already acquired through cooperating in World War I, on the formation of fusen movement strategies. Modern Japan’s fusen movement took place under special circumstances. First, Fusae Ichikawa and others knew that many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K. and the U.S. gave suffrage to women as a reward for cooperating with the government during national crises like the total war. This knowledge that enabled them to practically “foresee” (予知) the result of fusen movement influenced its strategies. Second, fusen movement’s counterparts were political parties called Seiyū-kai and Minsei-tō and their cabinets; however, the lifespan of a regime was short, promises were hardly kept, and the existence of party politics could not be guaranteed. Third, Japan at the time was actively introducing the reasonable lifestyle of the West, so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uggestion related to “life” was difficult for women to reject, and it often was the linkage that connected the two sides without much opposition. In this setting, fusen movement chose the following strategies when it initially began against the party cabinets. First, based on the example from the West, it adhered to peaceful methods with the certainty of success. Second, it embarked on activities for the Diet, or the legislative activities (and election support) based on party neutralism. Third, it had a tendency of emphasizing the benefits that the realization of women’s suffrage would bring rather than its legitimacy like gender equality as the argument for women’s suffrage. Fourth, also as a result of learning from the past, it focused on not only the acquisition of women’s suffrage, but also women’s politics education that had the future in mind. Fifth, it expanded its sphere of activity to life and social problems, which were socially important issues, in order to gain more support from the public. Sixth, it aimed for the unity of women for women’s suffrage, or women’s suffrage for the unity of women. However, the strategies above were basically for the period from the formation of the alliance in 1924 to the collapse of party cabinets and the end of party politics in 1932 due to the May 15 Incident. Since then, as military officials instead of party politicians became prime ministers and formed cabinets and even the Diet dominated by Seiyū-kai and Minsei tō received pressure from fascism and the military, the alliance could not maintain its initial guidelines. In other words, after the fall of party politics, when domestic politics reformed into the total war or the Imperial Aid (大政翼賛, taisei-yokusan) regime as the military and fascism especially rose to power and the Asia Pacific War took off, fusen movement’s strategy also had to be revised. As a result of altering the method of fusen movement against the changed counterpart, it was accused of “war cooperation,” which will be reviewed in detail separately.

한국어

이 글은 근대 일본에서 여성운동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는 여성참정권 운동, 이른바‘부선(婦選, fusen)운동’의 역사를 이치카와 후사에와 그를 중심으로 하는 부선획득동맹(婦選獲得同 盟, fusen kakutoku domei)을 중심으로 고찰하려 했다. 종래 부선운동 연구가 주로 ‘전쟁협력’의 기원을 찾으려는 관심에서 이루어졌던 것과는 달리, 이 글은 부선운동의 흐름을 운동의 상대가 되는 당시일본 정치체제의 변화와 그에 대한 부선운동계의 전략의 수정으로 파악하고자 했다는 점, 그리고 이미 제1차 세계대전에 협력하여 여성참정권을 획득한 영미의 사례를 학습한 것이 부선운동의 전략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근대 일본의 부선운동은 아래와 같은 특수한 환경 속에서 전개되었다. 첫째, 후사에 등은 영미를비롯한 서양 각국에서 총력전이라는 국가 위기상황에서 정부에 협력한 대가로 여성에게 참정권이 주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이를 통해 부선운동의 결과를 사실상 ‘예지’(予知)한 것은 전략 수립에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선운동이 상대해야 하는 것은 정우회(seiyu-kai)와 민정당(minsei-to)이라는정당과 그들에 의한 정당내각이었지만, 정권의 지속은 짧고 약속은 신뢰하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정당정치 존립도 불투명했다. 셋째, 당시 일본은 서양식의 합리적 생활문화를 적극 도입하고 있던 시기로, ‘생활’에 관한 중앙・지방 정부의 제안은 여성들이 거부하기 힘들거나 심지어 양자가 거부감 없이연결되는 접점이 되기 쉬웠다. 이러한 배경 위에서 부선운동은 정당내각을 상대로 했던 출범 초기 다음과 같은 전략을 택했다. 첫째, 서양의 사례에 대한 학습에 근거하여 — 성공의 확신을 가지고 — 평화적인 방법을 고수했고, 둘째, 대(対)의회운동 즉 대(対)정당 중립주의에 입각한 입법운동(및 선거지원)을 펼쳤으며, 셋째, 부선의 근거로서 남녀평등과 같은 정당성보다 부선의 실현이 가져올 장점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 이 또한 선행학습의 결과로서 — 부선 획득을 위해서뿐 아니라 실현 후의 미래까지를 염두에 둔여성 정치교육에 힘을 기울였고, 다섯째, 대중의 지지를 확대하기 위해 사회적 주요 이슈인 생활・사회문제까지 활동 영역을 확대했으며, 여섯째, 부선을 위한 여성의 대동단결, 혹은 모든 여성을 아우르기 위한 부선을 지향했다. 그러나 이상의 전략이란 기본적으로 1924년 동맹의 설립 이래 1932년 5・15사건으로 정당내각이 붕괴하고 정당정치가 종말을 맞이하기 전까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었다. 이후 정당 정치인이 아닌 군인이 수상이 되어 내각을 구성하고 정・민 양당이 장악한 의회조차 파시즘과 군부의 압력을 받는 시기가 되자, 동맹도 처음과 같은 방침을 고집할 수는 없었다. 즉, 정당정치가 와해된 이후, 특히군부와 파시즘이 강력하게 대두하고 아시아・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하면서 국내 정치가 총력전체제혹은 대정익찬(大政翼賛, taisei-yokusan)체제로 재편될 때, 부선운동의 전략도 수정되지 않을 수 없었다. 바뀐 상대(counterpart)에 맞추어 부선운동의 방식을 수정한 결과, 이는 ‘전쟁협력’ 활동이라는혐의를 받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별고를 통해 구체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목차

1. 머리말
2. 근대 일본 여성참정권 운동 개시의 경위와 환경
1) 근대 일본 여성참정권 운동 개시의 경위
2) 근대 일본 여성참정권 운동의 환경과 조건
3. 정당정치 시대 여성참정권 운동의 전략
1) 부선운동 초기의 전략과 특징
2) 정당정치 시대 부선운동과 잠재적 좌절
4.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영문초록

저자정보

  • 이은경 LEE Eun-Gyong.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조교수(HK)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