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배반당한 ‘해방’ : 미군 점령하 ‘재일조선인 문제’와 냉전, 1945~1948

원문정보

Liberation Betrayed : The Cold War and the Korean Minority Question in U.S.-Occupied Japan, 1945~1948

최덕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the end of World War II, Japan had a population of over two million Koreans, the majority of whom were both migrants and wartime conscripted workers. When the U.S. (Allied) forces occupied Japan after the war, General Douglas MacArthur and the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send as many Koreans back to Korea as possible in order to reduce the surplus population in war-torn, demobilized Japan. While nearly three-fourths of the Korean colonial migrants soon returned to their country, which had just been liberated from Japanese rule, over half a million Koreans remained in postwar Japan, forming its largest ethnic minority. As these Korean colonial migrants emerged as new political subjects invigorated by Japan’s defeat and the end of colonial rule in Korea, their presence became a “problem” in postwar Japan. How did the U.S. Occupation and the Japanese state respond to this “Korean minority question”? This paper examines how the practice of liberation by Koreans in Japan developed into a flashpoint for U.S. Cold War interventionism. The so-called “Korean-school disputes” in early 1948, in which the U.S. Occupation and Japanese authorities worked together to crack down hard on Korean demonstrations protesting the forcible closure of Korean ethnic schools and demanding non-interference in their self-determination, epitomized a crucial convergence between Japan’s “postcolonial” problem and the U.S. global Cold War agenda. U.S. and Japanese policy makers labeled the Korean demonstrations as “red riots” and linked them to the “Soviet-backed communist offensive” in southern Korea. This paper analyzes the U.S. Occupation policy toward Koreans in Japan by placing it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both the beginning of the global Cold War and the rise of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한국어

이 글은 미국의 재일조선인 정책을 글로벌냉전과 국제인권레짐의 개막이라는 두 가지 국제정치 전개의 맥락에서 새롭게 검증하고자 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질서 형성 과정에서는, 미소냉전이라는 대립구조의 출현과 함께 국제인권레짐의 개막이라는 또 다른 국제정치의 전개 역시 동시에 진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동아시아의 전후 처리와 냉전구조의 형성 과정 속에 재일조선인 정책을 위치 지으며 논의해왔다. 이 글은 이 같은 기존의 접근법 위에 전간기(戦間期)에 기원을 둔 전후 국제인권레짐의 형성 과정에 대한 고찰을 더함으로써 보다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함과 동시에, 재일조선인의 ‘해방’이 놓여 있었던 복합적인 구조와 조건들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전후의 재일조선인 운동은 어떠한 ‘해방’도 인정하려 하지 않는 일본 정부의 구태의연한 지배논리와 정면으로 충돌하는 가운데 냉전구조라는 제약 조건마저 더해지면서 ‘해방’의 실천이 봉쇄당했다. 그렇다면 전후 국제인권레짐의 개막은 미국의 점령정책을 통해 재일조선인의 ‘해방’에 어떻게 작용했는가? 이 글은 주로 점령정책 가운데 재일조선인의 ‘해방민족’ 규정과 민족교육 문제를 고찰하면서, 재일조선인 문제를 보다 넓은 세계사의 맥락에서 논해 보고자 한다.

목차

1. 들어가며
2. 미국의 재일조선인 정책과 ‘해방민족’ 규정
3. ‘해방’의 의미를 둘러싼 투쟁
4. 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 문제
5. ‘고베사건’
6. 마치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영문초록

저자정보

  • 최덕효 CHOI Deokhyo. 영국 셰필드대학교 동아시아학부 전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