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상사의 양성평등 인식이 고학력 여성의 경력개발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Supervisor's Gender Equality Perception on Career Development Behavior of Highly Educated Women

이수연, 장원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career development behavior of highly educated wome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career development behaviors of regular female workers with academic background above college graduates. The data from 'Research on career development factors of highly educated women', conducted by Yonsei University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A questionnaire data of 470 regular female workers under 40 years of age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ervisors’ gender equality perception, job satisfactio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behavior were used as latent variables. As shown by the results, first, supervisor’s gender equality percep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affect on career development behavior. Second, job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affect on career development behavior. Finally, job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gender equity perception and career development behavior.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e context of research on female workers, because a perception of supervisor, along with gender equality policies,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한국어

이 연구는 고학력 여성들의 경력개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정규직 여 성근로자의 경력개발행동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연세대학교와 한국연구재단의 공동연구 지원사업으로 수행 된 ‘고학력 여성의 경력개발요인에 대한 연구’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40대 이하의 정규직 여성근로자인 470명을 분석대상으로 두었으며 구 조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잠재변수로는 상사의 양성평등인식, 직무만족, 경력만족, 경력개발행동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조직 내 상사의 양성평등 인식은 직무만족과 경력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과 경력만족은 경력개발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과 경력만 족은 각각 상사의 양성평등인식과 경력개발행동을 매개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여성근로자 에 대한 파편적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살핌으로서 여성의 경력개발과정에 있어 단순한 양성 평등 제도 외에도 상사의 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조직 내 양성평등 인식과 경력개발행동
2. 경력만족, 조직만족과 경력개발행동
3. 조직 내 양성평등 인식과 만족, 경력개발행동 간의 관계
Ⅲ. 연구설계
1. 분석자료 및 응답자 특성
2. 변수의 측정
3. 연구모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가설검증
Ⅴ.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수연 SooYeon Lee. Chungang University
  • 장원섭 WonSup Chang. Yonsei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