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Dance Education Space based on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ce Produc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meaning of space in dance education space, triple meaning of spatial practice, space reappearance, and representational space, based on Henri Lefebvre's theory of space production. It's new interpretation of dance education space and focuses on Lefebvre's emphasis, body and gesture of human are fundamental center that produces space, so Lefebvre's theory of space production can be a proper mechanism. It rightly corresponds to cognized space, recognized space, and experienced space. Therefore, the discussion considers it's possible to interpret space triply as an important main mechanism for analyzing dance education space. First, spatial practice can be examined in nonverbal sign system and communication of dancing room space. Second, space reappearance can be classified by professionalism of dance educator. Finally, representational space may be able to apply method of dance education to Picoeure's triple mimesis level. Through the discussion, dance education space can be considered from a new angle by getting out of the confined space recognized in dance education of the past and furthermore, it may be able to provide an implication that reinterpretation of space production is required in dance education course.
한국어
본 연구는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바탕으로 무용교육공간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의미 즉, 공간적 실천, 공간재현, 재현공간이 어떠한 삼중성 의미를 두는지 해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는 무 용교육공간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르페브르가 강조하는 인간의 몸과 몸짓이 공간을 생산해내는 근원적인 중심이라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기에 르페브르 공간생산론은 적합한 기제라고 볼 수 있다. 이는 곧 지각된 공간, 인지된 공간, 체험된 공간으로 대응된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는 무용교육공간 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핵심기제로 공간의 삼중해석으로 가능하다고 보여 진다. 첫째, 공간적 실천 은 무용실공간의 비언어적 기호체계와 커뮤니케이션에서 살펴볼 수 있다. 둘째, 공간재현은 무용교 육 교수자의 전문성으로 구분지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현공간은 무용교육방법을 Picoeure의 삼중 미메시스 단계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과거 무용교육에서 인지되었던 공간이 한정된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으로 무용교육공간을 볼 수 있으며 나아가 무용교육과정 에서 공간생산의 재해석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며
Ⅱ.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생산론
1. 공간의 사회화: 자연적 공간에서 사회적 공간으로의 전환
2. 공간생산의 삼중성: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
Ⅲ. 교육공간에 대한 담론
1.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교육 공간
2. 체험되는 교육공간
Ⅳ. 무용교육공간에서 공간생산의 삼중성
1. 공간적 실천: 무용실공간에서의 비언어적 기호체계와 커뮤니케이션
2. 공간재현: 무용교육 교수자의 전문성
3. 재현공간: Picoeur의 삼중 미메시스 단계 교육방법
Ⅴ. 나가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