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탈북여성의 중년기 성장이야기 - F. 슈체의 생애사 이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role identification of A Study on Role Identification of the Community Building Activists

임세영, 김재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mmunity based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 town development exercise, it can be called a citizen participation is essential in order to be elicit such participation continues to deploy this critical role of village activists. Here the researchers have determined that it requires a specific analysis on the role of village activists.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based on the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town it was drawn to the role identity of the village activists.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village activists philosophy practitioners, organizations, practitioners, educators village, town planners the role of 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of the activity. Each role has two difficult aspects Although clear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village activists need to exert extensive competence and expertise in the process of town. If you envision a town training course in this regard it is to show that education is not confined to the necessary practical knowledge piecemeal through practical experience in the field, focusing on knowledge and expertise. And the village activists had found a human with a charm that can lead to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reliability, collaboration and administrative sectors and network capabilities and expertise in local knowledge is required than what is deep love for the area.

한국어

본 논문은 한 탈북여성이 중년기 전환기로서 한국정착과정을 통해 생애발달 측면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생애발달 경험을 재구성하여 그녀의 삶을 이해하는데 목 적이 있다. 탈북 여성이 살아온 삶속에 형성된 가치관, 신념, 태도, 사고의 확장 및 반영 등을 드러냄으로써 기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실증주의 연구와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생애 발달과업은 베일런트의 경력강화와 의미의 수호자를 추가하여 친밀감과 생산성과업을 어 떻게 이루어 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연구방법으로 F. 슈체의 생애사 연 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례를 재구성한 결과 친밀감에서는 ‘가족은 이 사회 세포이다’, 경력강화는 ‘코리안 드림은 내 댓가 없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생산성 과업 은 ‘미래의 희망을 품다’, 의미의 수호자는 ‘통일공동체를 위하여’로 주제어가 도출되 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탈북여성의 본능적 욕구인 ‘적응프레임’에서 벗어나 ‘존재적 욕구’의 표출 및 실현을 위한 노력을 보여줌으로써 중년기에 접한 탈북여성들도 끊임없 이 실패와 성공 반복하면서 성장해 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는 글
Ⅱ. 이론적 고찰
1. 기존연구검토
2. 생애발달이론
Ⅲ. 연구방법
1. 생애사 연구
2.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생애사 소개
2. 생애 재구성 : 어느 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은 없다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세영 Se-Yung, Lim.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김재숙 Jae–Sook Kim.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