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성인적자원개발정책의 방향과 과제

원문정보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ies for Women

최기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the continuous decline in working-age population and arrival of a knowledge-based econom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female workforces is growing. However, in Korea, the rate of femal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was a mere 54.7% in 2008, 7% lower than the OECD average, and female workers' status still remains at a poor level as the proportion of temporary female workers is high while that of women in managerial positions is low. Bringing such 'untapped' female workforce into the labor market so that they can be used as a new growth engine is the key to achieving sustainable growth in the Korean economy. With the target of reaching 60% of female participation by 2014,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comprehensive plan to develop and utilize women resources, and is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hey include creating more jobs for women, developing their vocational skills, reinforcing employment services and building infrastructure, and creating a women-friendly business and social environment. Since the enactment of the Equal Employment Act in 1987, sexual discrimination at every stage of employment from recruitment and hiring to retirement and dismissal has been prohibited in Korea. And systems and infrastructure have been established to promote female employment. Over the past 20 years, the Act has been amended 11 time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labor market situation, there was a policy shift from the ban on discrimination to employment services. Meanwhile in recent years more emphasis has been placed on policies aimed at supporting work-life balance.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use of female human resources in the future,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put into improving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expanding the social foundation for female employment.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people's cultural mind-set, which will lead to equality in childcare and employment across the entire society as well as in the workplace.

한국어

여성은 대체로 출산, 육아 등으로 생애기간 동안 경력 단절을 경험하며 경력을 지속적 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직업교육훈련이 필요하다. 여성의 직업교육훈련을 강화 하기 위한 선행요건은 여성의 훈련 참여 실태와 수요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여성의 직 업교육훈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남성과 그 격차를 비교할 때 그 요구가 더 명확히 드러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구직자를 대상으로 직업훈련 실태 및 직업훈련 수요 를 조사하고 성별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강화 방안을 찾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1,500명의 남녀 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직업훈련에 참여한 비율이 높으며 직업훈련을 통해 자신의 경 력목표 향상과 경력개발을 추구하는 정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 창업 등 경 제활동 동기로 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여성 구 직자는 직업훈련에 참여하고자 할 때 남성에 비해 가사, 육아, 가족부양을 더 많이 애로 사항으로 경험한다. 보육서비스, 시간제 고용 등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취업지원프로그램 에 대한 요구가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여성구직자가 선호하는 취업 직종은 남 성과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여성구직자는 취업 어려움으로 인해 남성구직자보다 창업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직업훈련기관을 활용하는 여성구직자는 민간훈 련기관 활용자보다 취업 가능성이 떨어지는 준고령 여성 비율이 높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구직여성은 직업 정보가 부족하며 스스로 성별을 근거로 직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성직업훈련기관 또한 민간 직업훈련기관에 비해 전통적으로 여성이 많이 진출 한 직종이나 비제조업, 경공업 및 사회서비스 분야에 한정하여 직업훈련과정을 개설함 으로써 여성에 대한 직업훈련이 구조적으로 악순환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현황과 문제점
1. 여성경제활동 현황
2. 여성취업의 구조
3. 여성고용 전망
Ⅲ. 여성인적자원개발정책의 방향과 과제
1. 비전과 목표
2. 부문별 정책과제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기동 Gi-Dong Choi. 노동부 부산종합고용지원센터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