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산지역 남녀구직자의 직업교육훈련 참여 실태 및 수요 비교분석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and Needs by Sex in Busan

전혜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women experience career breaks during life span and they need proper vocational training in order to return to work. In order to facilitate women's vocational training,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needs of women's vocational training. When women's need are compared to men's, there may be gaps between them and the gaps show their needs vivid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the condition and needs of vocational training and compare them between men and women and explore devices to empower women's vocational training. For the purpose, 1,500 job seekers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women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more than men and strongly pursue to find career objectives through training. Secondly, women'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are less oriented by economic activity than men. Thirdly, women have more barriers in vocaional training participation by house keeping, child caring, family caring. Fourthly, women and men have different priority in occupational category. Fifthly, women prefer to enterprise rather than getting employment because of poor job condition. Finally,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for women have higher proportion of poor job seekers such as older and lower educated women than general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한국어

여성은 대체로 출산, 육아 등으로 생애기간 동안 경력 단절을 경험하며 경력을 지속적 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직업교육훈련이 필요하다. 여성의 직업교육훈련을 강화 하기 위한 선행요건은 여성의 훈련 참여 실태와 수요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여성의 직업교육훈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남성과 그 격차를 비교할 때 그 요구가 더 명확히 드러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녀구직자를 대상으로 직업훈련 실태 및 직업훈련 수요 를 조사하고 성별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여성의 직업교육훈련 강화 방안을 찾고자 한 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1,500명의 남녀 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직업훈련에 참여한 비율이 높으며 직업훈련을 통해 자신의 경 력목표 향상과 경력개발을 추구하는 정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취업, 창업 등 경 제활동 동기로 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여성 구 직자는 직업훈련에 참여하고자 할 때 남성에 비해 가사, 육아, 가족부양을 더 많이 애로 사항으로 경험한다. 보육서비스, 시간제 고용 등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취업지원프로그램 에 대한 요구가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여성구직자가 선호하는 취업 직종은 남 성과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여성구직자는 취업 어려움으로 인해 남성구직자보다 창업 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직업훈련기관을 활용하는 여성구직자는 민간훈 련기관 활용자보다 취업 가능성이 떨어지는 준고령 여성 비율이 높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구직여성은 직업 정보가 부족하며 스스로 성별을 근거로 직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성직업훈련기관 또한 민간 직업훈련기관에 비해 전통적으로 여성이 많이 진출 한 직종이나 비제조업, 경공업 및 사회서비스 분야에 한정하여 직업훈련과정을 개설함 으로써 여성에 대한 직업훈련이 구조적으로 악순환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조사 결과
1. 여성직업훈련기관 참여자 특성 분석
2. 여성의 직업훈련 참여경험 분석
3. 직업훈련 수요 및 지원 프로그램 분석
4. 직업훈련 희망분야 및 지원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혜숙 Hye-Sook Jeon.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위원/인력개발연구부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