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태조대 삼화사 수륙재 설행의 역사성과 의미

원문정보

Historical Development and It’s Meaning of Samhwa Temple’s Water and Land Ceremony in King Taejo Period

탁효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meanings of the Water and Land Ceremony of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Water and Land Ceremony carried out at Samhwa Temple in Samcheok by Taejo Lee Seong-gye. Immediately after founding Joseon Dynasty, Taejo practiced Water and Land Ceremony at three temples in the East Sea, South Sea and West Sea. On the surface, this event was a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former kings of Goryeo Dynasty, but it actually had the purpose of resolving the public sentiments of the Joseon Dynasty and assembling the members of the new dynasty. Among them, Samcheok Samhwa Temple, located in the East Sea, was a temple closely related to the ancestors. This was the place where Taejo's four great grandfather Lee An-sa(李安社) used as Buddhist shrine when staying at Samcheok. The ancestor' of Taejo, the Jeonju Lee family, moved several times due to the conflict with the Goryeo Dynasty, first to Jeonju, then to Samcheok, and then to Hamheung outside the territory of Goryeo Dynasty. Samcheok was the place where Lee An-sa stayed away from Koryo's army, and Samhwa Temple was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Samcheok. This connection led Taejo to set up the Water and Land Ceremony at Samhwa Temple. The Water and Land Ceremony practised at Samhwa Temple in the King Taejo had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ve national event of Joseon Dynasty on behalf of Goryeo Dynasty's eight precepts council. Since then, the Water and Land Ceremony has gradually changed in character. Since King Sejong, the Water and Land Ceremony has become a representative ritual of the Joseon royal family. After the Imjin War and the Byeongja War, the Water and Land Ceremony was spread to the private sector and became the most common ritual among Buddhist rituals. The form and content of Water and Land Ceremony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modern Buddhism today.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초 태조 이성계가 삼척 삼화사에서 설행한 수륙재의 정치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조선전기 수륙재가 지닌 역사적 성격을 고찰한 연구이다. 태조는 건국 직후 동해와 남해, 서해에 위치한 세 곳의 사찰에서 수륙재를 설행했다. 이 행사는 표면적으로는 전 왕조인 고려의 왕씨들을 위한 천도재였지만, 사실상 조선의 민심을 수습하고 새 왕조의 구성원들을 규합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동해에 위치한 삼척 삼화사는 태조의 선대 조상들과 인연이 깊은 사찰이었 다. 이곳은 태조의 4대조인 穆祖 李安社가 삼척에 머물 때 원당으로 삼았던 곳이었다. 태조의 조상인 전주이씨 가문은 고려 왕조와의 갈등으로 인해 여러 차례 이주를 하였는데, 처음에는 전주로 이주하였다가 또다시 삼척으로 이주를 한 다음 고려 영토 밖인 함흥으로 이주를 하였다. 삼척은 이안사가 고려의 군대를 피해 잠시 머물던 곳이었고, 삼화사는 이 안사가 사경을 봉안했던 삼척의 대표적인 사찰이었다. 이러한 인연으로 인해 태조는 삼화 사에 수륙사를 설치하게 되었던 것이다. 태조대에 삼화사에 설치된 수륙사는 고려의 팔관회를 대신하여 조선의 대표적인 국가행 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후 수륙재는 점차 성격이 변모하였는데, 세종대 이후부터 수륙재는 조선 왕실의 대표적인 상장례 의례로 자리매김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수륙재는 민간에까지 크게 전파되어, 불교의례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의례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은 수륙재의 형식과 내용은 오늘날 현대 불교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고려말 전주이씨 가문과 동해 삼화사
3. 태조대 삼화사 수륙재의 설행 배경
4. 조선전기 수륙재의 역사성과 변화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탁효정 Tak, Hyo-Jeong. 한국학중앙연구원 전문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