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mbol structures of the traumatic children with early parental loss. Self-awareness, awareness of others and the relational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sychological diagnostic assessment using symbolic figures in nine children with formal written consents. Results have shown that the self-awareness of the children was characterized as a figure symbol system of strength and weakness: they want to be strong in order to protect themselves or recognize themselves negatively as being weak. Awareness of others was represented as number 1 and number 2, whose symbolic structures expressing interruption, fixation, frustration, feeling low, depression, and confusi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systems were intermixed in the awareness of others. Peer relation level was represented as three types of relational structure; avoidant, confused, and purpose-oriented types. Neg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low self-esteem, desire for safety and power, alienation, isolation, lack of sociality, were shown in the children with the adverse early childhood due to parental los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raumatic children and for the effective emotional intervention to the social workers or counselors working for the traumatic children with parental loss.
한국어
본 연구는 인형심리진단평가에 나타난 생애초기 부모상실 외 상아동의 자기인식과 타인인식 및 또래관계의 상징체계 분석을 통해 생애초기 부모상실 외상아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선택한 동 물 인형의 상징적인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애초기 부모상실 외상아동의 동물인형의 선택에 나타난 자기인식에서는 강함과 약함의 동물상징체계로 나타났 다. 자기 자신을 지키기 위한 강한 존재가 되기를 소망하거나 반 대로 약한 존재로서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정서적 어려움 이 나타났다. 타인인식에서는 수1과 수2의 상징체계로 나타났다. 가로막힘, 고착, 좌절, 무기력, 우울, 혼란스러움을 표현하였으며 긍정적인 의미체계와 부정적인 의미체계가 혼재되어 있는 타인 인식 상징체계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관계차원에서는 회피형, 융 합된 갈등형, 목적지향형의 세 가지 유형의 관계구조로 나타났다. 이 특성은 외상아동의 인식의 이해와 아동이 속해 있는 기관의 복지사나 상담사들에게 정확한 정보와 효과적인 정서적 개입 방향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생애초기 부모상실로 인한 아동기 외상(Trauma)
2. 생애초기 부모상실로 인한 외상의 상관관계 관점
3. 인형심리진단 평가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장소
2. 연구도구
3. 연구과정
4. 연구분석
Ⅳ. 연구결과
1. 생애초기 부모상실 외상아동의 자기인식
2. 생애초기 부모상실 외상아동의 타인인식
3. 생애초기 부모상실 외상아동의 관계 특성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