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교정공무원의 퇴직 후 진로전환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원문정보

A Qualitative Study on Career Transition of Correctional Officer Who got a Post-retirement Job

장선숙, 안윤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day, a variety of changes are followed in the professional world as increased life expectancy. However, most public officers are passive in preparing for retirement as they are guaranteed job security under the law while in office and pension for public officer after retirement. Most public officers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and coping with the rapid changes of this age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working for public organizations. Some people live a satisfying second act of life, doing new work, thanks to their own strengths, accumulated work experience and continued self-development in the incumbent. We interviewed 21 people who worked as correctional officer for more than 28 years and succeeded in career transition after retirement, and categorized and analyzed data on the work experience, retirement preparation process, meaning of work, etc. in the way of Strauss and Cobbi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why correctional officers do new work after retirement was self-realization rather than economic compensation. Second, the work experience of a retired correctional officers turned out to be much help to the new job, especially ‘deep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people through the experience of various people’ helped all subjects. Third, in the career transi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it indicated a higher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mpetence and social capital than position while in office. Fourth, the most important and prerequisite for career transition after retirement is to establish career goals through self-discovery and self-understanding processes. These were the starting points for career transition. Fifth, when concrete preparations were made for career transition,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was smooth, the time required for the transition was short, and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 This study will be specific educational material for retirement arrangements. It will also serve as the basis for the introduction of retirement support programs that conform to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ional officers.

한국어

오늘날 수명증가에 따라 직업세계에 다양한 변화들이 뒤따 르고 있지만 대부분 공무원들은 재직 중 법률에 의한 직업안 정과 퇴직 후 공무원연금 보장되어 퇴직준비에 수동적이다. 대부분 공무원들은 장기간 공공기관의 특수성의 영향으로 빠른 시대변화의 흐름에 적응하거나 능동적인 대처가 어려운 데도 일부는 현직에서부터 자신의 강점과 축적된 일경험, 그 리고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새로운 일을 하며 만족스러운 인생2막을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28년 이상 교정공무원으로 재직 후 퇴직하고 또 새로운 일로 진로전환한 2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하여 교정 공무원 재직 중 일경험, 퇴직준비과정, 일의 의미 등에 대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Strauss와 Cobin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교정공무원이 퇴직후 새로운 일을 하는 이유는 경제적인 보상보다도 자기실현의 의미가 컸고, 둘째, 실제 퇴직 후 진로전환 한 경험자들을 통해 본 교정공무 원의 일경험은 새 일에 많은 도움이 되었고. 참여자들 모두에 게서 도움 되는 전직 일경험은 ‘다양한 사람들을 경험하여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수용’이었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진로 전환에서는 재직 시 직급 보다는 개인역량과 사회적자본이 높 은 관계를 나타내었고, 넷째, 퇴직 후 진로전환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선행되어야 할 부분은 자기탐색과 자기이해과정으 로 진로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진로전환의 출발점이었다. 다섯째, 진로전환을 위해 구체적인 준비를 한 경우는 진로전환과 정이 순조롭고, 전환을 위한 소요 시간도 짧았고 만족감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퇴직준비에 구체적인 교육자료가 되고, 교정직 공무원 특성에 맞는 퇴직지원프로그램 도입에 기초가 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정공무원
2. 퇴직
3. 진로전환(career transition)
Ⅲ. 연구의 방법
1. 연구의 설계
2. 연구 참여자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개방코딩 결과
2. 축코딩 결과
3. 선택코딩 결과
Ⅴ.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정보

  • 장선숙 Jang, Seon-Sook.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박사, 의정부교도소 교감
  • 안윤정 An, Yoon-Jung.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