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著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Material Standard of 10 Specified Odor Substances - Aromatic hydrocarbon and ester compounds, fatty acids, ketone, i-butyl alcohol -

원문정보

한국의 10개 지정악취물질 배출허용농도기준 개선안에 관한 연구 - 방향족 탄화수소, 에스테르, 지방산 화합물, 케톤류 및 아이소뷰틸 알코올을 중심으로 -

Jin Seok Han, Sang Woo Han, Chun Sang Lee, Kyung Chan Kim, Young Jin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adequacy of odor intensity, dilution factor for complex odors, linkage of substance concentrations of designated odor substances, and adequacy of emission limits for aromatic hydrocarbons and esters compounds, ketone, 4 fatty acids and isobutyl alcohol.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proposal to improve the standard value of individual material standard. The correlation and adequacy of mutual reference values were examined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odor intensity, material standard, dilution factor. 15 and 20 of dilution factor are enhanced levels compared to 2.5 and 3.0, which are the odor intensity standards. Butyl acetate is a weakened standard, with a large change in substance level and stronger than dilution factor.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found to be the most potent concentration levels. From the correlation equation, the substance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the basic standard of odor intensity was calculated, and it was partially different from the current substance concentration standard. In order to examine the adequacy of the proposed standards, the odor intensity was calculated for the semi-industrial and industrial areas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 standard and the dilution factor, and almost all substances had odor intensity of 2.5 and 3.0.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지정악취물질중 방향족 탄화수소, 케톤류 및 에스테르, 4개의 지방산과 아이소부틸알콜, 총 10 종에 대 하여 악취관리 수단으로 사용하는 악취강도, 복합악취에 대한 희석배수, 지정악취물질의 물질농도 기준간의 연계성 및 배 출허용기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개별 물질농도의 기준치 개선(안)을 제안하고 자 하였다. 악취강도와 물질농도, 희석배 수, 그리고 물질농도와 희석배수간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상호 기준치의 연계성과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인 악 취강도의 규제 기준치인 2.5와 3.0에 비해 희석배수 15와 20은 강화된 수준이며, 물질 기준인 경우는 변화폭이 크고 희 석배수보다 더욱 강화된 수준으로 뷰틸아세테이트는 약화 기준치이며, 프로피온산과 뷰틸릭산은 가장 강화된 물질 농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식으로부터 악취강도의 기본 기준치에 해당하는 물질농도를 산출하였으며, 현 악취방 지법에 기준 되어진 물질농도와는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제안되어진 기준들의 적정성 검토를 위하여 희석배수와 물질농 도의 관계식을 이용한 검토와 결과 값을 통해 준공업지역과 공업지역에 대해 악취강도를 산출한 결과 거의 모든 물질이 2.5와 3.0의 악취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 방법
1.물질농도, 악취강도 및 희석배수, 실험자료의 활용
2.물질농도, 악취강도 및 희석배수와의 상관관계와 기준 적정성 검토
III. 결과 및 고찰
1.지정악취물질 별 배출허용농도기준 추정 악취강도비교 검토
2.규제 희석배수와 추정 악취강도의 비교 검토
3.최소감지농도에 대한 배출허용기준농도 비율의 검토
4.지정악취물질의 배출허용농도기준의 도출
IV. 결론
Acknowledge
References

저자정보

  • Jin Seok Han 한진석.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Sang Woo Han 한상우.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Chun Sang Lee 이춘상.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Kyung Chan Kim 김경찬. 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Young Jin Kim 김영진. Youngjin Technology CO., LTD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