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著

A Study on Air Pollution Point Source Tracking Method in the Industrial Complex Area Using Drone and Real-time Analyzer

원문정보

드론 및 실시간 이동형 감시시스템을 이용한 도심산단 지역의 대기오염원 추정에 대한 연구

Sung-Min Ryu, Jeong-Hun Kim, Jong-Hyeon Kim, Jung-Wung Yoo, Bu-Ju Gong, Jung-Min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selection process of suspected pollutant emission sites in urban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using drones for measuring air pollutants and air quality real-time mobile monitoring system when high concentration of fine dust occur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case that was used in the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Gyeonggi-do during the actual emergency reduction that occurred in 2018. The area showing high concentration phenomenon inside the industrial complex was identified using drone and real-time mobile monitoring system, and the detaile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in the divided area and the workplaces were selected first. The industrial complex suspected of pollutant emission was mainly textile dyeing industry, and the industrial complex was mixed with residential area, and the site where the complaints of the residents occurred, and the Y business site located in the B area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selected as the site of the suspicion of pollutant emission. The final result of the emission doubt workplac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was up to about 2,560 ppb, dichloromethane was up to about 170 ppb, and methanol was up to 90 ppb, confirming the suspected emission of air pollut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not investigate all air sources when high concentration of air quality occurs, so it can be used to select the workplace to be inspected in industrial areas o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ir quality concentration in industrial areas in time and space rather than to measure the exact concentration or exceeding the clear emission allowance standar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대기 중 미세먼지 고농도 현상 발생 시 시행되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방안 중 고정오염원에 대한 사업장 감시· 점검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기질 모니터링 및 오염원 추정에 대한 감시기법으로 2018년에 발생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 경 기도에 위치한 도심 산단에서 활용되었던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최신기법은 대기오염물질 측정용 드론과 실시간 이동형 감시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미세먼지 고농도 현상 발생 시 도심 산단에 위치한 수많은 사업장 중에서 고농도 배출 의심 사업장을 추정하여 선정(List-up) 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실시간 이동형 감시시스템으로는 도심 산단의 부지경계를 측 정·탐색한 후 구역을 구분하고 의심 사업장의 후보군을 선정하였고, 드론은 의심 사업장의 후보군에 속한 사업장 상공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고농도 사업장 2곳에 대하여 시료를 포집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드론으로 포집한 시료를 실시간 이동형 감시시 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최종 의심 사업장을 추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의심 사업장 측정 결과 톨루엔(Toluene) 농도가 최대 약 2,560 ppb까지 나타났고,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은 최대 약 170 ppb, 메탄올(Methanol)은 최대 90 ppb로 나타나 대기오 염물질 고농도 배출이 의심되는 부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질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필요한 기존의 감 시체계를 보완하여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 신속·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감시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미세먼지 고농도 현상 발 생 시 도심 산단 지역의 대기질 감시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 방법
1. 대상지역
2. 대기질 실시간 이동형 감시시스템
3. 드론을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측정
III. 결과 및 고찰
1. 산단지역의 구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
3. 드론을 이용한 배출 사업장 측정결과
4. 실시간 이동형 감시시스템을 이용한 배출 사업장 측정결과
IV.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Sung-Min Ryu 류성민.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Jeong-Hun Kim 김정훈.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Jong-Hyeon Kim 김종현.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Jung-Wung Yoo 유정웅.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Bu-Ju Gong 공부주.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Jung-Min Park 박정민.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