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뇌과학과 뇌법 관련 이슈에 대한 개관

원문정보

Issues in Neurosciene and Neurolaw

이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euroscience, exploring brain functions and structures, throws light on the way to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Also neuroscience is relevant because it provides additional support for understanding immature judgment and self-control. Neurolaw,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which links the brain to law, facilitates the pathway to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in order to regulate it accurately through incorporating neuroscience achievements in legal studies. Neurolaw is the application of neuroscience findings to legal topics such as criminal, tort,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justice, agency, intent, and policy. The relevance of neuroscience to law depends intimately on the specific legal issue and context. Neuroscience intersects with the law in multiple ways, and the ethical impact of neuroscience is similarly diverse. The first broad distinction concerns the role of neuroscience in decisions about criminal responsibility. The Court has recently invoked group-based neuroscientific evidence concerning the immaturity of the adolescent brain to help reach group-wide conclusions about the extent of adolescent liability for criminal behavior. Neurolaw would help us to apply medical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legal area to achieve a more equitable legal system. The concern of neurolaw will lead us to having more concentration on both neuroscience and law to find an appropriate solution and direction between legal and neuroscientific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한국어

뇌과학은 인간의 행동의 기초가 되는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인간의 행동의 규제에 관련된 법적 시스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뇌법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기본개념은 뇌에 대한 진일보된 지식이 법률 시스템을 더욱 잘 설계하고 더욱 공정한 법적 절차로 이어질 것이라는 신뢰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그러한 공정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학제간 연구이다. 뇌과학의 성과들은 이미 법정에서 그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형사법체계에서의 범죄와 책임, 민사법체계에서 상해, 불법행위와 보상, 자유의지와 개인의 프라이버시, 소년의 미성숙 뇌, 약물중독자의 뇌손상, 마음 읽기와 거짓말탐지기 등에 관련된 법적 이슈들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입법과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뇌법은 법전 형태의 독립된 법률이 아니다. 새로운 뇌과학 기술이 가져다주는 기술의 불확실성을 인지하면서 예기치 않은 결과의 가능성과 심각성을 미리 통찰하는 논의과정을 통해서 기존의 법률시스템을 유지할 것인지 수정・대체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관심을 집중해야 하는 새로운 법률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적으로 뇌과학과 뇌법을 개관하여 서술하면서 먼저, 뇌연구의 발달에 대한 법률적 측면에서의 새로운 학제간 연구분야인 뇌법의 개념, 기능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뇌과학연구의 성과에 따른 법률시스템 상으로 제기되는 뇌법의 주요 이슈들을 형사법, 민사법 등의 분야별로 검토하였다. 또한 뇌과학의 성과에 대한 수용과 활용에서 야기되는 뇌법의 한계, 제한점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뇌과학에서 얻어지는 혁신이 사회적 배경과 비전, 윤리적 요구나 법률 시스템 등에 잘 조화되어 대응하기 위하여 열려져 있는 뇌법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한편으로 연구성과들이 뇌과학 기술의 진보를 촉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인간의 이해와 인권 보호의 지평을 유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뇌법의 의의와 기능
Ⅲ. 다양한 법률시스템에서의 뇌법 관련 이슈
Ⅳ. 뇌과학의 수용한계로서 뇌법 제한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인영 Lee, In-Young. 홍익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