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에도막부의 천황관에 대한 재고 — 천황에 대한 막부의 통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cionsideration for aspect of the Tennou of the Edo Shogunate’s – Focusing on the Edo Shogunate’s control over the Tennou –

양익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earch on the view of the Tennou in the early modern period has changed from an aspect of control over the Imperial Court of the Shogunate to an aspect that is essential. In this paper, this kind of perception change is conducted throughout the study of Japanese history. In this paper, we consider such changes in recognition as part of the role emphasis of layers and the assertion of consensus politics, which are conducted throughout the study of Japanese history. In this paper the control aspect of the shogunate’s Imperial Court and Emperor was proved wit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royal authority theory of early modern and analysis of Article 1 of the “Kinchu Narabani Kuge Shohatto” and the abdication issue of Emperor Edo. The reason why Syogun could not become kings in royal authority theory of early modern, in the analysis of Article 1 of the “Kinchu Narabani Kuge Shohatto”, emphasis was placed on the aspect of control,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general who was the subject of the virtue to be protected by the king was the main subject. In the Tennou’s abdication process, the control was revealed based on the process of making a decision to ignore the Tennou’s intention while the generals were fully involved in the execution of the abdication. As mentioned above, the Tennou’s existence in the early modern period would have been survived by adding control to the Shogunate to use the Tennou. However, do you emphasize the control aspect? The debate over whether to emphasize the need for existence will require more research accumulation and analysis.

한국어

근세 천황관에 대한 연구는 막부의 조정 통제라는 측면에서 필수불가결적인 요소로의 천황의 존재라는 측면으로 변해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식의 변환을 일본사 연구 전체에서 행해지고 있는 계층간의 역할 강조와 합의 정치 주장의 일환으로 보고 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데서 출발하였다. 본고에서는 근세 왕권론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금중병공가제법도’ 제1조에 대한 해석, 근세 천황의 양위 문제 등을 소재로 막부의 조정 및 천황 통제의 측면을 입증하였다. 근세 왕권론에서는 쇼군이 왕이 될 수 없었던 이유를 ‘금중병공가제법도’ 제1조의 분석에서는 왕이 지켜할 덕목을 신하가 주체가 되어 제정한 사실을 통해 통제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천황의 양위과정에서는 양위의 실행에 쇼군이 전적으로 관여하면서 왕의 의중을 무시하는 결정을 내리는 과정을 통해 통제를 증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근세 천황의 존재는 막부가 천황(왕)이 될 수 없었기 때문에 통제를 통해 존속시켰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물론 필요성에 대한 완벽한 부정은 불가하기 때문에 통제의 측면을 강조할 것인가, 존재의 필요성을 강조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더 많은 연구의 축적과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일본어

近世の天皇観に関する研究は、幕府の朝廷に対する統制の側面から必須不可欠的な要素であるという側面に変化してきたのである。本稿では、このような認識の変化を日本史研究の全体で行われている、階層間の役割強調と合意政治の主張の一環として考え、これらに対する疑問を呈することから始まったものである。本稿では、近世の王権論に対する先行研究の分析、「禁中並公家衆法度」第1条に対する解析、近世天皇の譲位問題を素材に幕府の朝廷及び天皇に対する統制の側面を立証した。近世の王権論では将軍が王にな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理由を、「禁中並公家衆法度」第1条に対する分析では王が守るべき徳目を臣下である将軍が主体になって制定したことに注目して統制の側面を強調した。また、天皇の譲位過程では、譲位の実行に将軍が全面的に関与しながら、天皇の意中を無視する決定を下す過程を根拠に統制を明らかにした。以上のように近世の天皇の存在は幕府が天皇を利用するため統制を加えながら存続させたことであろう。ただ、統制の側面を強調するのか。存在の必要性を強調するのかに対する論議はより多くの研究の蓄積と分析が必要であろう。

목차

<요지>
Ⅰ. 들어가며
Ⅱ. 근세왕권론
Ⅲ. 금중병공가제법도를 둘러싼 해석
Ⅳ. 천황의 양위를 둘러싼 막부의 통제
Ⅴ. 나가며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양익모 Yang, Ik-mo. 한국외국어대학교 아시아언어문화대학 동북아외교통상전공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