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식민 통치와 수사 사업 — 조선총독부의 사료 수집과 활용 —

원문정보

Colonial Governance and Investigation of History – Collecting and Using Historical materials by Governor-General of Chosen –

박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investigation project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 which is represented by Joseon-sa, in terms of collecting and using historical materials. Japan’s clearing of old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proceeded with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securing private records with the use of public authority. It functioned to assimilate for Korean(Joseon). The historical materials obtained in the process were released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exhibition, which absorbed and controlled the aristocratic families of each faction, the former ruling class of Joseon, and was used as loot for the public promotion of the Governor-General. Beginning with the plan to aggregate all historical materials, the compilation of 『Joseon-sa󰡕 was changed to a system containing only a brief Kangmun and the names of historical materials for rapid publication. As a result, it was completed as a sort in a chronological order rather than a source book. Kangmun’s technique, which was abstracted from the historical materials, clearly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Japanese history, and instead of containing the historical materials, the published Historical material series of Joseon was also selected for the study of Japanese history. The paintings in each volume of Joseon-sa and Historical materials of Joseon photograph collection functioned as a symbol of domination and authority by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Joseon with modern technology of photography while ensuring academic empirical. In short, the 16 years of compilation of Joseon-sa can be said to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domination and assimilation of colonial society.

한국어

본 연구는 『조선사』로 대표되는 조선총독부의 수사(修史) 사업을 ‘사료의 수집과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통감부 시대부터 시작된 일본의 조선 고기록 관리는 공권력을 동원하여 민간 기록까지 수집하고 장악하는 수순으로 나아갔으며, 역사 편찬이라는 명분으로 수행한 사료 채방은 총독부의 권위가 지방의 식민지 사회까지 파고드는 통로이자 조선인을 동화시키는 과정이었다. 입수된 사료들은 사료전람회를 통해 공개됨으로써 조선의 구지배층인 각 당파의 문벌가를 흡수 통제하고, 총독부의 치적 홍보에 전리품으로 활용되었다. 모든 사료를 집대성할 계획으로 시작된 『조선사』 편찬은 신속한 출판과 활용을 위해 간략한 강문과 사료명만 수록하는 체제로 변경되었고, 결과적으로 사료집이 아닌 일종의 편년체 통사로 완성되었다. 사료를 발췌 요약한 강문의 기술에는 명백히 일본의 시각이 반영되었으며, 사료를 수록하지 않는 대신 간행된 『조선사료총간』 또한 일본사 연구를 위해 선별된 것이었다. 『조선사』 각 권의 도판과 『조선사료집진』은 학문적 실증성을 담보하는 방편이자 사진이라는 근대적 기술로 조선의 역사를 시각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지배와 권위의 표상으로 기능한 것이었다. 요컨대 16년간에 걸친 『조선사』 편찬은 그 과정 자체가 식민지 사회의 지배와 동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

本研究では、『朝鮮史』に代表される朝鮮総督府の修史事業を「史料の蒐集と活用」という観点から考察した。朝鮮の古記録に対する日本の管理は統監府時代から始まり、公権力を動員して民間の記録まで掌握する手順に進んで行った。歴史編纂という名分で行われた史料の採訪は、総督府の権威が地方の植民地社会までに食い込む通路であり、朝鮮人を同化させる過程であった。入手された史料は展覧会を通して公開されることにより、朝鮮の旧支配層である各党派の門閥家を吸収·制御し、総督府の政治的宣伝に戦利品として活用された。すべての史料を集大成する計画をもって開始された『朝鮮史』の編纂は、迅速な出版や活用のため簡単な綱文と史料名のみ収録する体制に変更され、結果的に史料集ではなく、一種の編年体通史として完成された。史料を抜粋し要約した綱文の技術には、明らかに帝国日本の視覺が反映されており、史料を収録しない代わりに出版した『朝鮮史料叢刊』も、日本史研究のために選別されたものであった。学術的実証性を担保する方便は『朝鮮史』各巻の図版と『朝鮮史料集眞』であったが、これは写真という近代的技術を以て朝鮮の歴史を視覚的に再構成したもので、支配と権威の表象として機能した。要するに、16年間にわたる『朝鮮史』の編纂は、そのプロセス自体が植民地社会の支配と同化に大きく寄与したと言えよう。

목차

<요지>
Ⅰ. 머리말
Ⅱ. 조선총독부의 사료 수집 - 식민지 사회의 ‘채방’
Ⅲ. 『조선사』의 사료 활용 방식 - 식민지의 실증사학
Ⅳ. 사료전람회 - 지배와 봉헌의 장
Ⅴ. 맺음말 - 『조선사』와 한일 근대사학사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박지영 Park, Ji-young.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강사. 한일비교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