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5성급 호텔 조직문화가 지식공유, 흡수역량 및 서비스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지식공유와 흡수역량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f 5-star hotel and knowledge sharing, absorptive capacity and service innovative behavior : focusing on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and absorptive capacity

김태욱, 윤선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f 5-star hotel and knowledge sharing, absorptive capacity and service innovative behavior. Using IBM SPSS 20.0 and AMOS 24.0 program for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empirical study with 475 samples of hotel employees in South Korea show that H1:organizational culture on knowledge sharing is adopt, H2:organizational culture on absorptive capacity is adopt, H3:organizational culture on service innovative behavior on adopt, H4:knowledge sharing on absorptive capacity is adopt, H5 knowledge sharing on service innovative behavior is adopt, H6:absorptive capacity on service innovative behavior is adopt, and H7:knowledge sharing and absorptive capacity have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rvice innovative behavior.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e the foll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C and SIB has academ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partially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KS and AC. Employees should be able to make effective use of trust, autonomy, transparency in decision making, and mutual advice within departm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조직문화
2. 지식공유
3. 흡수역량
4. 서비스 혁신행동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 변수의 추출 및 설문지 구성
3. 표본의 설계 및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2. 자료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4. 상관관계 분석
5. 경로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태욱 Taeuk Kim. Florida States University, Dedman School of Hospitality, Visiting Scholar
  • 윤선미 Sunmi Yun. Florida States University, Dedman School of Hospitality, Visiting Schola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강헌주(2017). “호텔 조직 내 리더십이 갈등관리, 혁신행동 및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2고윤정·강주선·김종기·고일상(2014). “지식공유활동 및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자발적 지식제공의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전문·비전문 지식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43(6). pp.2175-2199.
  • 3김구(2011). “지방정부의 지식흡수역량과 혁신역량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기초자치단체의 조직문화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0(1). pp.185-224.
  • 4김금영·권영린·원철식(2019). “관광기업의 흡수역량이 핵심역량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져연구』. 31(3). pp.75-95.
  • 5김수연(2017). “여유자원과 환경불확실성이 중소기업의 흡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지향성과 팀다양성, 자기초월가치의 조절효과”.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 6김태구·이계희(2012). “호텔직원의 지식공유행동과 서비스 혁신행동: 수정 및 확장된 Triandis 모형의 적용”. 『관광학연구』. 36(8). pp.25-49.
  • 7김태욱·윤성길·김영찬 (2017). “호텔기업의 진정성 리더십이 흡수역량과 학습조직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42(3). pp.21-46.
  • 8김형민·권한조·김윤식(2019). “호텔 조직문화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호텔경영학연구』. 28(1). pp.205-224.
  • 9나현정·최정환·김윤식(2019). “호텔기업 조직자본 관점의 혁신성이 서비스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저항의 크기에 따른 차이검증”. 『호텔경영학연구』. 28(4). pp.93-111.
  • 10박만주(2011). “서비스 기업의 혁신문화가 종사원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골프장 조직의 LMX 질을 조절효과로”. 『관광연구』. 26(4). pp.201-216.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