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입센의 『헤다 가블레르』에 나타나는 원형(Archetype)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rchetype in Hedda Gabler by Henrik Johan Ibsen

송선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trait of character appearing in Hedda Gabler(1890) by Henrik Johan Ibsen. Since its release, the controversy over the main character Hedda has been in constant dispute.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taking place in that regard, which disproves the fact that Hedda's character in the play is so multi-character.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 of Hedda, this paper applied the concepts of ‘persona’, ‘anima’ and ‘shadow’ as suggested by Carl Gustav Jung in the Archetype theory. This analysis is a discussion based on the fact that Ibsen’s autobiographical experience and psychology were projected in various ways, especially in his later works. As is well known, Rosmer and Solness, the characters of the play that were released before and after Hedda Gabler, are close to Ibsen's own self-portrait. On the premise of this, the main body of this paper revealed how Ibsen molded his ‘persona’, ‘anima’ and ‘shadow’ into the character of Hedda.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Hedda's multiple personalities were expressed as duplicate images of these three Archetypes present inside Ibs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ggestive in that they open up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Ibsen's plays. In other wor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bsen, who pursued self-purification through his plays, which projected himself, we can find something similar to the universal function of mythology.

한국어

이 논문은 입센(Henrik Johan Ibsen)의 『헤다 가블레르(Hedda Gable r)』(1890)에 나타나는 등장인물의 성격을 분석한 것이다. 발표 당시부터 주인공 헤다의 성격에 대한 논란은 끊이질 않았고, 그와 관련하여 다양 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는데, 이것은 그만큼 극중 헤다의 성격이 다중적 이라는 사실을 반증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헤다의 성격을 규명 하기 위해 융(Carl Gustav Jung)이 원형(Archetype) 이론에서 제시한 ‘페 르소나(persona)’, ‘아니마(anima)’, ‘그림자(shadow)’의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특히 입센의 후기작에 그의 자전적 경험과 심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투영되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 논의이 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헤다 가블레르』를 전후하여 발표된 희곡의 등장인물인 로스메르(Rosmer)와 솔네스(Solness) 등은 입센 자신의 자화 상에 가깝다. 이를 전제로 하여 본론에서는 입센이 자신의 ‘페르소나’, ‘아르마’, ‘그림자’를 어떻게 헤다라는 인물로 조형하였는지를 밝혔으며, 그 결과 헤다의 다중적 성격은 입센의 내면에 존재하는 이 세 가지 원형 이 중복된 이미지로 표출된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입센의 극작에 대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즉, 극작을 통해 자기 정화를 추구했던 입센과 자 기 자신을 투영한 희곡의 관계에서 우리는 신화의 보편적 기능과 유사 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자전(自傳)의 투영
3. 원형의 중복 이미지
3.1 계급의 가면
3.2 디오니소스적 욕망
3.3 금기의 파괴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선호 Song, Seonho. 중부대학교 공연예술체육학부 연극영화학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