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에 관한 상호관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ddiction and Social Stigma of the Youth outside school

문진영, 박주원, 이창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ddiction and social stigma of adolescents outside school. After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 focusing on the Public stigma & Self-stigma theory, We intended to examine how game addiction and social stigma affect each other over time, and the tim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both. Using youth outside school panel 3rd, 4th, 5th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ddiction and social stigma of adolescents with school interruption longitudinally.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using two variables such as game addiction and social stigma using Amos25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game addic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ocial stigma at the next time, but social stigm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ame addiction at the next time. Game addiction and social stigma have a strong auto-regressive effect, and the degree remains constant over time.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social co-prosperity, support from the local community, multidisciplinary viewpoint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한국어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양자사이에 시간적 인과관 계를 규명하고자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검토된 사회적 낙인감 & 자기 낙인감 이론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학교 밖 청소년 패널 3차 자료와 4차 자료, 5차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의 관계에 대해 종단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Amos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 두 변수를 사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은 다음시기의 사회적 낙인감에 유의 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다음시기의 게임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게임중 독과 사회적 낙인감은 강력한 자기회귀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생, 지역 사회 지지, 다학제적 관점과 민관 협치를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1 학교 밖 청소년의 개념 및 연구 경향성
2.2 사회적 낙인감 이론
2.3 게임중독과 학교 밖 청소년
3. 연구대상 자료 및 연구모형
3.1 연구대상 자료
3.2 연구모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분석결과
4.1 통계분석 결과
5.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문진영 Jin-Young Moon.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박주원 Ju-Won Park.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
  • 이창문 Chang-Moon Lee.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