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he Elderly Contact Experience and Aging Knowledge on the Elderly Discrimination Recognition Using the Empathy Ability

양정남, 최은정, 김화선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in relation to contact experience of the elderly and their knowledge level of ageing.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0th Dec. to 30th of Dec. 2018 355 university students from D university in J. province were surveyed. Data was analysis by using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was confirmed by Sobel's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empathy was verifie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contact experience and discrimination of elderly people. In addition,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empathy was verified between level of aging knowledge and the perception of elderly discri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ractic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level of aging knowledge and to increase contact experience with elderly people. There is also a need to enhance empathy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discrimination against elderly people in health and welfare departments among university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차별인식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12월 20일~30일까지 J도 D대학 학생 35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접촉경험과 노인차별인식의 영향 관계 에서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간에도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노인차별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노화지식 함양과 노인 접촉경험을 확장 하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2.1. 노인차별인식과 노인접촉경험 및 노화 지식
2.2 노인접촉경험 및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및 가설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3 측정 도구
4. 분석방법
5. 연구결과
5.1 대상자의 일반특성
5.2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5.3 매개효과 분석
6. 결론 및 함의
6.1 결론요약 및 연구함의
6.2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방향
REFERENCES

저자정보

  • 양정남 Jeoung-Nam Yang. 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최은정 Eun-Jeung Choi. 동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김화선 Hwa-Sun Kim. 혜윰심리상담연구소 심리상담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