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dentified the latent groups according to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and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group identification. The best-fitting LCA solution had three classes. The first group was ‘non-academic stressed group, immersed in smartphone’ It was characterized low scores on academic stress and average scores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e second group was ‘medium level academic stressed group, immersed in smartphone’ which scored slightly above average in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he third group was ‘medium level academic stressed group, non-immersed in smartphone’. It showed higher scores than average in academic stress, but students with far lower scores i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Logistic analysis result showed that gender and grade were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zing academic related variable(academic stress) and mental health related variable(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to classify the groups according to patterns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suggest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each group in a convergence way.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을 중심으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잠재집단구분에 영향을 주는 개인 및 학업성취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잠재계층분석 결과, 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 성에 따른 잠재집단은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학업스트레스 없는 중간수준 스마트폰 몰입집단’으로 학업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이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하위영역에서 평균 수준의 수치를 나타냈다. 두 번째 집단은 ‘중간수준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몰입집단’으로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모든 하위영역에 서 상대적으로 평균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세 번째 집단은 ‘중간수준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비몰입집단’으로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영역에서 평균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다른 집단보다 월등히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성별과 학년만이 유의한 영향 을 미쳤다. 본 연구는 두가지 다른 요소라고 볼 수 있는 학업 관련 변인인 학업 스트레스와 정신보건 관련 변인인 스마 트폰 중독 경향성을 융합적으로 연관시켜 분석을 통해 집단의 특성을 분류하고 차별적 개입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Smartphone Addiction Tendency)스마트폰 중독은
2.2 학업 스트레스(Academic Stress)
2.3 학업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3. 연구모형 및 가설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주요변인의 기술 통계치 및 상관분석
4.2 잠재계층분석 결과
4.3 잠재계층별 특징
4.4 잠재계층 분류 결정요인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