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PA 분석기법을 통한 공동주택의 무장애공간 인증기준 적합성 분석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arrier-Free Space through IPA Method for the Elderly in Multi-family Housing

김주환, 김원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a human being grew older, followed by visually and perceptually impaired, and dementia, it jeopardizes safety and life unless supportive design is secured for a living environment. This supportive space is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which offers safe-oriented, and simple use by incorporating gender and physical/mental limitation. The study of purppose wa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barrier-free standard for seniors’ living in apartment through IPA. Chi-square analysi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BF space is lowered as aging is continued and for female group.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ink was the prime predictor in satisfaction, and stair/elevator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PA concluded that sink, bath, shower/locker and alert/egress were prime BF indexes to be improved among 14 elements, implying careful design in sanitation area for seniors.

한국어

노인이 되면 시지각 인지장애 및 치매까지도 수반하게 되어 지지적 공간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전 및 생명에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지지는 연령이나 성별, 신체정신적 한계를 포용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IPA기법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거주 노인계층을 대상으로 현행 무장애 공간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교차분석결과,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남성보다 는 여성그룹의 무장애 공간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은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위생시설의 일부인 세면대 항목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 또한 계단 및 승강기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제시되었다. IPA 분석결과, 14가지 인증항목 중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BF인증지표는 세면대, 욕실, 샤워실 경보 및 피난시설로 도출되어 위생시설에 대한 보다 면밀한 시설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노인을 위한 무장애공간 문헌고찰
2.1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신체·정신적 특성
2.2 고령자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개념
3. 설문조사 및 조사방법
3.1 조사항목 및 조사대상
3.2 설문항목 분석방법
3.3 설문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4. 분석
4.1 설문항목의 만족도 분석
4.2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주환 Ju-Whan Kim.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 박사과정
  • 김원필 Won-Pil Kim.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