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산 해안선 환경문제에 대한 공간형태 변화 및 보호대책 구축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Spatial Morphology Change and Protection Strategy Construction Considering Environmental Problems of Busan Coastliney

푸저민, 김철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uts forward protection strategies for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Busan coastline, providing theoretical basis and guiding standards for the tourism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of the coastline. The order of research is to deduce the factors that affect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theoretical coastlin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The investigation method of spatial structure combined with time axis is adopted, and historical images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are us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changes of Busan coastline. The three types of natural coastline, artificial coastline and ecological restoration coastline are analyzed through the five factors that affect the fluctuation, extensibility, greening rate, concealment and vision of space. According to the above discussion, international competition examples are introduced to find solutions. Finally, environmental protection schemes are put forward from five aspects of tourism, accidents, development, culture and transformation. In the future research, it will focus on the transformation of coastline space to provide a more humanized activity space for coastline residents.

한국어

본 논문에서 부산 해안선의 환경문제에 대하여 보호대책을 제시하며, 해안선의 관광개발과 환경 리모델링에게 이론적 근거와 지도 기준을 제공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인 해안선의 발전 특성을 통하여 환경문 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하며 공간 구조에 시간축선을 결합한 조사방법으로 역사영상 기능과 그래픽 처리기술을 활용하여 부산 해안선 형태 변화의 특징을 찾는다.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기복도, 연전성, 은폐성, 시야도인 다섯 개의 요소를 통하여 자연 해안선, 인공 해안선과 생태 복구 해안선의 세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를 국제 콘테스트 사례를 도입하여 대책을 모색한 결과 관광, 사고, 개발, 문화, 그리고 개조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환경보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경 리모델링에 중점을 둠으로써 주민들에게 보다 인성화된 활동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내용 및 방법
2. 부산 해안선 현황 및 형태 분석
2.1 부산 해안선 환경 현황
2.2 방파제 테트라포드의 형태 분석
2.3 해안선 형태 분석및 비교
3. 부산 해안선 환경 분석 및 보호전략
3.1 해안선 환경의 문제 분석
3.2 해안선 환경보호 사례 분석
3.3 해안선 환경보호 전략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푸저민 Pu Zemin.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협동과정학과 박사과정
  • 김철수 Chul-soo Kim. 부경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